최초로 의료 분야에 딥러닝 도입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996403.1.jpg)
최근 창업 멤버인 정규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학계 이직 의사를 밝혔고, 얼마 전엔 김현준 대표가 퇴사했다. 설립자 중에는 이예하 대표(사진)만 남았다.
창업 멤버들의 이탈에 이 대표는 경영체제 개편이라는 승부수를 띄웠다. 2020년 집행임원제를 도입해 집단경영 방식으로 회사를 꾸리면서 대표직을 내려놓고 연구개발(R&D)에 집중하다 지난 2월 대표이사에 복귀했다. 이후 연구본부장을 겸임하면서 R&D를 챙기고 있다.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위해 그룹제를 폐지하고 팀제로 개편하는 등 효율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1000096.1.jpg)
사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딥카스가 의료AI업계 최초로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선진입 의료기술로 선정돼 지난 1일부터 병원의 비급여 청구가 가능해졌다. 올 6월엔 AI 기반의 뇌 정량화 의료기기인 딥브레인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결정에 따라 3차원(3D)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수가로 인정됐다. 이 대표는 “AI를 기반으로 새 의료행위를 창출할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제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된 셈”이라고 했다.
“올 매출 세 배 성장 목표”
뷰노의 또 다른 야심작은 가정용 AI 의료기기인 하티브프로다. 사람들이 일상에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심혈관 질환, 만성 신장병 등 만성질환을 조기 진단해 준다. 그동안 기업 간 거래(B2B) 소프트웨어를 주로 개발한 뷰노의 첫 의료기기 제품이다. 얼마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했다. 내년 초 출시가 목표다.이 대표는 뷰노가 나아갈 방향을 ‘선택과 집중’ ‘돈 버는 AI’ ‘환자 중심의 헬스케어’ 등 세 가지로 제시했다.
실적 목표도 상향했다. 이 대표는 “올 들어 지금까지 단일판매 공급계약 공시 등을 통한 영업성과는 34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매출을 넘어섰다”며 “딥카스, 딥브레인 등의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서 올해 매출이 작년보다 세 배 이상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뷰노는 지난해 2월 상장 당시 올해 200억원의 매출을 예상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과 급여 결정 지연 등으로 목표보다 1년가량 사업이 지연됐다. 이 대표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의료 선진국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같은 개발도상국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