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한국디지털에셋(KODA), 웁살라시큐리티 AML 솔루션 도입한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디지털에셋(KODA), 웁살라시큐리티 AML 솔루션 도입한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블록체인 디지털자산 규제기술(Reg-tech) 전문기업 웁살라시큐리티는 코다(KODA, 한국디지털에셋)와 디지털자산 자금세탁방지(AML)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KODA는 KB국민은행이 블록체인 기술기업 해치랩스, 블록체인 전문투자사 해시드와 함께 설립한 가상자산(암호화폐) 수탁 서비스 업체다. 법인, 기관에 특화된 원스탑 가상자산 수탁 전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KODA는 이번 계약을 통해 웁살라시큐리티의 위협 인텔리젼스 데이터베이스(TRDB)와 가상자산 지갑 위험도 평가 솔루션 서비스(CARA), 가상자산 추적 보안 솔루션(CATV)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KODA는 웁살라시큐리티의 'TRDB'를 통해 법인 고객의 가상자산을 수탁·관리 시 입금되는 자금의 지갑주소가 다크웹 및 해킹 금융범죄 등과 연관 있는 블랙리스트 지갑인지 사전에 대조 및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ML과 테러자금조달방지(CFT)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CARA'를 통해 웁살라시큐리티의 데이터베이스(TRDB)에 존재하지 않는 블랙리스트 지갑주소라 할지라도 해당 지갑의 과거 거래 패턴을 24개 위험지표를 통해 분석해 지갑의 위험도를 등급별로 나누고 사전에 판별한다. CARA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온체인상의 다양한 지갑 패턴을 머신러닝한 서비스다.

마지막으로 사기 등 범죄에 연루된 가상자산 거래를 사후에 발견 시, 가상자산 추적 보안 솔루션인 'CATV'를 통해 지갑 거래 흐름을 실시간 추적·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혐의 거래를 적시에 파악해 가상자산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규제 준수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고영주 KODA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는 "웁살라시큐리티의 특화된 디지털자산 AML 솔루션을 추가 도입함으로써 정부규제 기준 이상의 디지털자산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웁살라시큐리티가 곧 출시할 디지털자산 전문 이상거래탐지 솔루션(FDS) 도입도 함께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웁살라시큐리티는 현재 개별 지갑주소 뿐 아니라 다량의 지갑주소에 대한 위험성을 원클릭으로 일일 전수 검사해 위험도 높은 거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FDS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strong>'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지영 블루밍비트 기자 jeeyoung@bloomingbit.io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