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68183.1.jpg)
30일 직방에 따르면 다음달 전국에 62개 단지, 총 3만2952가구(일반분양 2만8232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전년 동월에 비해 총 가구수는 30.3%(7681가구), 일반분양 물량은 45.6%(8848가구) 증가한 수준이다.
다음달 분양 예정 물량은 지방에 집중됐다. 총 3만2952가구 가운데 지방에 66.1%(2만1772가구)가 몰려 있다. 부산(4959가구)의 공급 물량이 가장 많다. 충북(3119가구), 경남(2993가구), 경북(2602가구), 대구(2360가구) 등이 뒤를 잇는다. 수도권 물량은 전체의 33.9%로 지난해 6월에 비해 비중이 줄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에서 7912가구가 공급돼 가장 많다. 이어 인천(2632가구), 서울(636가구) 순이다. 서울에서는 강서구 화곡동 ‘화곡동더리브’(140가구) 등 소규모 단지들이 공급된다. 경기에서는 GS건설이 화성시 봉담읍에 ‘봉담자이라젠느’(862가구), 한양이 남양주시 와부읍에 ‘남양주도곡2한양수자인’(908가구) 등을 공급한다. 인천에서는 서구 불로동 ‘힐스테이트 불로포레스트’(736가구), 중구 운남동 ‘호반써밋 스카이센트럴2차’(583가구) 등이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71519.4.jpg)
지방에서는 1000가구 이상 대단지 공급이 줄을 잇는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에는 SK에코플랜트와 GS건설이 ‘청주 SK뷰 자이’(1745가구)를, 부산 해운대구 반여동에는 라온건설이 ‘부산 센텀 삼정그린코아포레스트’(1676가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68183.1.jpg)
새 정부에서 분양가상한제 개편 의지를 밝히면서 수도권 정비사업 아파트들이 분양 일정을 하반기 이후로 미루는 분위기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분양가상한제에 정비사업 이주비와 원자재값 상승분을 반영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된 뒤 재건축, 재개발 아파트들이 제도 개선 이후로 분양을 늦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