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30139162.1.jpg)
▶한자풀이
反: 돌이킬 반
求: 구할 구
諸: 모두 제
己: 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고침
- 《맹자(孟子)》
맹자(孟子)의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담대한 기상이다. 비굴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는 떳떳함이다.
《맹자》 공손추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어진 자는 활 쏘는 사람과 같다. 활을 쏘는 사람은 자신을 바르게 한 뒤에 활을 당기는데, 쏘아서 적중하지 못하면 ‘나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오히려 나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己)’.”
반구제기(反求諸己)는 ‘되레 자신에게서 허물을 찾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못되면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본다는 의미다. “내가 남을 사랑하는데 그가 나를 친애하지 않으면 내 사랑이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사람을 다스리려는데 다스려지지 않으면 내 지혜가 부족한지 돌아봐야 하고, 남에게 예(禮)를 다했음에도 그가 내게 예로 답하지 않으면 내 공경에 부족함이 없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말도 함의가 같다.
공자는 “군자는 허물을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허물을 남에게서 구한다(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고 했다. 공자 말에 비춰보면 ‘자기 집 두레박줄이 짧은 것은 탓하지 않고 다른 집 우물이 깊다고 한숨짓는다”는 《명심보감》 구절은 딱 소인을 빗댄 말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7975272.1.jpg)
‘잘되면 내 덕이고 못되면 조상 탓’이라고 했다. 둘러보면 세상천지가 핑곗거리다. 군자는 안을 살피고, 소인은 밖을 기웃댄다. 네 탓과 내 탓, 글자 하나 차이지만 둘 사이 거리가 아주 멀다. 안이 밝아야 밖이 빛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3013916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