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9.62

  • 28.92
  • 1.13%
코스닥

745.19

  • 6.85
  • 0.93%
1/4

'안방' 주택만 매달린 건설사들…해외수주 비중 줄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린 지난 2년 동안 국내 상위 건설사의 주택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의 저가 공세에 해외 수주가 급감하자 대형 건설사들까지 안방 주택시장에 매달린 여파로 풀이된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상위 10개사 중 지난 2년간 국내 주택·건축 매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대우건설이다. 지난해 말 기준 대우건설의 국내 주택·건축 비중은 66.96%로 2019년 말(55.80%)에 비해 11.16%포인트 증가했다. 최근 2년간 해외보다 국내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주력했다는 의미다.

SK에코플랜트도 국내 주택·건축 매출이 눈에 띄게 늘어난 건설사 중 하나다. 2019년 말 23.92%에서 지난해 34.95%까지 올라갔다. SK에코플랜트는 국내외 플랜트 매출 비중이 44.60%로 10% 안팎인 대우건설 GS건설 등 경쟁사에 비해 높았다.

GS건설의 주택 매출 비중도 코로나19 기간에 확대됐다. 2019년 말 47.9%에서 지난해 말 56.0%까지 주택 비중이 커졌다. 뒤이어 현대건설(5.10%포인트) 현대엔지니어링(4.97%포인트) HDC현대산업개발(3.21%포인트) 순으로 국내 주택·건축 매출 비중이 늘었다. 이로 인해 2019년 말 평균 51.65%이던 국내 상위 10개 건설사의 평균 국내 주택·건축 매출 비중은 지난해 말엔 53.15%로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대형 건설사들이 상대적으로 기술 개발 투자가 많이 필요한 해외 인프라·플랜트 사업보다 사업 수행이 쉬운 국내 주택·건축 영업에 매달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수년간 중국과 인도 건설사들이 ‘돈 되는’ 해상풍력발전 등 해외 플랜트와 인프라 시장에 적극 뛰어들면서 국내 대형 건설사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14년 660억900만달러에 달하던 해외 건설 수주는 매년 두 자릿수 하락률을 보이다 지난해엔 306억1600만달러(약 37조9485억원)로 반토막났다. 그 결과 각종 정비사업이 나올 때마다 대형 건설사 간 치열한 수주전이 반복되고 있다.

성태경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해외 사업 확대가 어려워지면서 건설사의 국내 건축·주택 의존도가 심화됐다”며 “주택 의존도가 높아지면 실적 가변성이 커지고 채산성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