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풀이 破: 깨뜨릴 파
壁: 벽 벽
飛: 날 비
去: 갈 거벽을 깨고 날아간다는 뜻으로
사물의 요긴한 곳을 완성함을 이름
- 《수형기(水衡記)》
남북조시대 양(梁)나라에 장승요(張僧繇)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가 금릉에 있는 안락사(安樂寺)에 용 두 마리를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그 까닭을 묻으니 그가 답했다.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날아가 버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믿지 않자 그가 용 한 마리에 눈동자를 그려 넣었다. 그러자 갑자기 천둥이 울리고 번개가 치며 용이 벽을 차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눈동자를 그리지 않은 용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수형기(水衡記)》에 전해오는 얘기다. 이 이야기에서 두 개의 고사성어가 유래한다.
하나는 파벽비거(破壁飛去)다. ‘벽을 깨고 날아간다’는 뜻으로, 사물의 긴요한 곳을 완성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요점을 찾아 어떤 일을 해결하거나 조그마한 부분적인 일로 전체가 활기를 띠는 것을 이르기도 한다. 평범한 사람이 갑자기 출세함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또 하나는 화룡점정(畵龍點睛)이다. ‘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마무리해 일을 완벽하게 마친다는 의미로 쓰인다. 일이 전반적으로는 잘됐지만 어딘가 부족한 데가 있을 때 ‘화룡에 점정이 빠졌다’고 한다.
용은 단번에 하늘로 오르지 못한다. 물속에서 내공을 단련하고 날개를 키워야 하늘을 난다. 마
부위침(磨斧爲針)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이다. 부지런히 갈고닦으면 일이 반드시 이뤄진다는 의미다.
하나가 부족해 아흔아홉이 허사로 돌아가고, 그 하나로 전체가 완벽해지기도 한다. 모래알이 모여 백사장이 되고,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된다. 벽을 깨고 날려면 혼을 다한 정교한 노력이 필요하다. 땀은 속이지 않는다. 용의 눈동자를 그리는 마음가짐으로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자. 작은 일에 마음을 쏟지 않으면 큰일은 결코 이뤄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