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여 명의 설계사를 보유한 국내 1위 독립계 보험판매대리점(GA)인 피플라이프가 매물로 나왔다. 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대면 영업에 타격을 입은 데다 한화생명 미래에셋생명 등 대형 보험사들이 잇따라 GA 시장에 진출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토스 등 보험 시장에 신규 진입하려는 테크 기업 등이 피플라이프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AA.29071508.1.jpg)
주주 구성을 살펴보면 삼성생명 출신 창업자인 현학진 회장 및 특수관계인이 62.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재무적투자자(FI)인 코스톤아시아가 32.2%, 푸본현대생명이 4.9%를 갖고 있다. 현 회장과 FI 지분을 포함한 100% 지분이 매각 대상이다.
티저 레터에 따르면 피플라이프는 2020년 6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1년간 매출 3190억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 340억원을 기록했다. EBITDA는 전년 동기(200억원) 대비 70% 증가했다. 전국 오프라인 지점 수는 189곳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대면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영업에 큰 타격을 입은 데다 지난해 한화생명과 미래에셋생명 등이 자회사형 GA법인을 설립하는 등 경쟁이 치열해져 결국 매각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소속 설계사 1만8000여 명을 보유한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지난해 4월 출범하자마자 GA 업계 1위로 올라섰다.
피플라이프의 인수 후보로는 국내 대형 생명보험사 및 국내외 사모펀드(PEF) 운용사 등이 거론된다. 최근 들어 자회사 토스인슈어런스 등을 통해 GA 영업망을 늘리고 있는 토스(비바리퍼블리카) 등도 인수 여부를 검토 중이다. 토스는 올해 초 100여 명의 설계사 채용에 나서는 등 대면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토스 등 테크 회사들이 규제 강화 등 영향으로 오프라인 영업망을 구축하기 시작하면서 매각 측에선 기회라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토스 입장에서도 가격만 적당하다면 M&A로 단기간에 사업 기반을 확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독립계 GA회사들이 잇따라 상장이나 매각에 성공한 점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리치앤코는 JC파트너스에 약 1900억원에 매각됐고 인카금융서비스는 연초 코스닥시장 상장에 성공했다.
피플라이프는 현 회장이 2003년 설립한 국내 최대 규모의 독립계 GA로 조인성·현빈 등 유명 배우를 모델로 기용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으로 사세를 키웠다. 업계 최초로 설계사를 전원 정규직으로 채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19년 PEF인 코스톤아시아로부터 조달한 투자금으로 오프라인 점포를 500곳까지 확대한다는 청사진을 세웠으나 코로나 위기로 결국 좌절됐다.
차준호/이호기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