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07.14213012.1.jpg)
경제 리더십 더 중요해졌는데
42일 앞으로 다가온 한국 대선도 코로나 위기와 공급망 붕괴, 이념에 치중한 반(反)기업 정책의 폐해를 실감하면서 역시 경제 회생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차기 국정과제를 묻는 연초 설문조사(한국갤럽)에서도 경제회복(32%), 부동산 문제 해결(32%), 코로나 대처(15%), 일자리 확대(9%) 순으로 답이 많았다. 디지털 전환시대 초경쟁이 펼쳐지는 글로벌 환경에서 ‘과학 대통령’에 대한 기대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눈앞의 청년실업, 가계부채, 집값 불안을 생각하면 ‘경제 대통령’에 먼저 눈길이 가게 마련이다.이런 점에서 지난 23일 공개된 한국경제신문-입소스 대선 지지도 조사를 주목할 만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경제를 잘 이끌 후보’ 부문에서 42.8%를 얻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28.4%)를 가볍게 따돌렸다. 그런데 선뜻 이해되지 않는 미스매치가 하나 있다. 경제 리더십 선호도 1위인 이 후보가 전체 지지율에선 윤 후보와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한경 조사에서도 오차범위 내에서 윤 후보(39.4%)가 이 후보(36.8%)를 오히려 앞섰다. 경제 리더십이 앞서는 후보가 항상 지지율 1위일 수는 없겠지만, 그동안의 잣대로 보면 다소 의외다. ‘경제 대통령’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일까. 이유를 잘 들여다봐야 한다.
설득력 있는 비전 제시 관건
올 들어 이 후보는 다양한 경제 공약을 전략적으로 쏟아내며 유권자들에게 경제를 많이 언급한 후보로 인식됐다. 상대 윤 후보가 이 분야에서 깊은 인상을 남기지 못한 데 따른 반사이익을 얻었다. 하지만 ‘세계 5대강국’ ‘국민소득 5만달러’ ‘일자리 300만 개’ 등 만만찮은 목표를 국가와 공공이 주도하는 식으로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지 설명해내진 못했다. 기본소득, 국토보유세, 기본주택 등 포퓰리즘과 일부 좌파 정책이 혼재된 공약의 한계도 불 보듯 뻔하다. “저소득층에 저금리가 정당하다”는 그의 인식이 변함없다면 더욱 그렇다. 또 탈모약 건보 적용, 소득이 일부 있는 고령자에 대한 연금 감액제 폐지 등 ‘퍼주기’식 소확행 공약 외에 나라 재정을 어떻게 튼튼히 할지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도 많다.“정치인이 좋은 이상(理想)을 가졌어도 국민이 고통스러워하면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이 후보 말에 이르면 더욱 혼란스럽다. 표심(票心)이 원하면 언제든 공약을 접겠다는 뜻이지만, 어디까지 신뢰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런 점에서 ‘경제를 잘 이끌 후보’를 묻는 항목에 유권자들이 대수롭지 않게 ‘경제상식이 많아 보이는 후보’ 손을 들어준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진짜 경제 활력을 살려낼 ‘경제 대통령’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줄었다고 단정짓기 어렵다. 오히려 그 갈증은 더해지고 있다. 이제라도 그런 비전을 보여주고 설득해낼 후보에게 결국 지지가 모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