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등산에서 걷기(트래킹)로’ 야외활동 유행이 바뀌는 중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등산에서 걷기(트래킹)로’ 야외활동 유행이 바뀌는 중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최근 야외활동 인구가 등산보다 걷기(트래킹)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등산·걷기(트래킹) 국민의식 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건전한 등산·걷기 문화의 확산을 꾀하고 활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10월25일부터 11월12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성인 남녀 1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항목은 등산·걷기(트래킹) 인구 규모 및 활동 빈도, 특성, 소요시간, 인식 및 태도 등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3%, 조사기관은 씽크컨슈머다.

조사 결과 지난해 등산·걷기(트래킹) 활동 인구는 전체 성인 남녀의 77%인 3169만 명으로, 2018년 조사결과(71%) 보다 6% 증가했다.

등산·걷기(트래킹) 인구를 구분한 결과, 등산 인구는 2018년도 56.4%에서 8.5% 감소한 1972만 명(47.9%)이며, 이는 대한민국 인구(5185만 명)의 38%에 해당했다.

반면 걷기(트래킹) 인구는 2018년도 59.4%에서 9.3% 증가한 2835만 명(68.7%)으로, 대한민국 인구(5185만 명)의 55%에 달했다.

센터는 이번 조사로 국민들의 야외활동이 등산에서 걷기(트래킹)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범권 산림청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이사장은 “조사를 통해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2021년 등산·걷기(트래킹) 인구가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등산·걷기(트래킹)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에서는 2008년 이후 3년 주기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이 네 번째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등산·트레킹지원 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숲길정보·기반구축실로도 문의할 수 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