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583953.1.jpg)
○메티버스 공략 선봉 맡은 롯데면세점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582971.1.jpg)
면세점이 선봉에 선 것은 신 회장의 남다른 관심 때문이다. 2015년 10월 롯데면세점 제2통합물류센터에서 그는 “앞으로 (면세업계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해 서비스업의 삼성전자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내수 중심인 백화점·마트와 달리 외국인이 주요 구매자(84%, 2019년 말 기준)인 면세 유통에선 충분히 글로벌 1등을 노려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코로나 직전인 2019년 롯데면세점 매출은 10조원으로 글로벌 2위까지 올라섰다.
전대미문의 악재로 여겼던 글로벌 팬데믹을 계기로 롯데면세점은 대대적인 변신을 꾀하고 있다. 메타버스 등 디지털 전환(DT)에 생존을 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지난해 DT사업부를 신설했다”며 “여행 준비에서부터 면세 쇼핑, 출국에 이르는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에 기반한 초개인화 마케팅을 올 상반기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예정된 DT부문 투자액만 수백억원에 달한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11월 온라인 면세점 명품관인 ‘소공 1번지’를 글로벌 면세업계 최초로 선보였다.
○디지털 전환에 수백억원 투자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584728.1.jpg)
롯데는 1996년 롯데인터넷백화점이라는 온라인 쇼핑몰을 업계 최초로 선보일 정도로 앞서나갔지만, 최근 성적표는 최초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다. 메타버스가 신 회장의 반전 카드가 될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롯데 관계자는 “중국 등 아시아 큰손들의 명품 수요가 엄청나다”며 “명품 경쟁력이 뛰어난 롯데면세점을 활용해 롯데만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롯데면세점은 1984년 루이비통에 이어 1985년 글로벌 면세점 중 처음으로 에르메스를 입점시켰다. 1986년 샤넬까지 들어오면서 일찌감치 ‘에·루·샤’를 완성했다.
면세사업 규제 강도가 완화되고 있다는 것도 호재다. 관세청은 기획재정부 등과 함께 외국인이 한국에 입국하지 않고도 온라인으로 국내 면세점에서 쇼핑할 수 있는 ‘역직구’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