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조정장은 생태계 정비 차원에서 바람직합니다. 숨고르기가 없으면 투기 양상으로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블록체인 전문업체 온더의 최공필 디지털금융연구소장은 21일 2022년 대예측 세미나에서 “암호화폐 투기 버블은 생태계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 소장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과 세계은행,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자문위원 및 한국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을 지내는 등 전통 경제학과 암호화폐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로 손꼽힌다. 지난 8월 금융연구원에서 온더로 옮기면서 업계에 화제가 됐다.
최 소장은 “암호화폐는 수수료가 비싸고 처리속도가 느린 기존 중앙화 금융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했다”며 “전체 금융시스템 변화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최 소장은 정부 규제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기술과 인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은 법률 자문만으로 자본을 날리는 경우도 많이 봤다”며 “스타트업 입장에선 정부 부처별로 규제와 진흥이 제각각이다 보니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암호화폐업계에도 쓴소리를 잊지 않았다. 최 소장은 “금융이란 게 공공성이 중요한데 (업계도) 자체적인 투자자 보호장치를 마련하는 등 규제와 기술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NFT(대체불가능토큰)에 대해선 “아직 갈길이 멀다”는 시각이다. 그는 “NFT가 담보가치로 인정되면 금융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잠재력이 있다”면서도 “많은 사람에게 투자 기회로 다가가려면 소유권 등에서 여전히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에 대해선 빅테크와 중앙은행 간 경쟁구도가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최 소장은 “CBDC는 페이스북이 개발한 스테이블 코인인 ‘리브라’의 출현에 중앙은행이 ‘아차’ 하면서 디지털 세상에서 나름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만든 것”이라고 했다.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화폐와 일정 비율로 교환 가능한 암호화폐다.
최 소장은 “모든 거래가 온라인에서 이뤄지다 보니 국경을 뛰어넘는 지불 결제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리브라가 나왔다”며 “국경 없이 움직이는 돈에 대한 관리 주체를 국가 대신 빅테크가 맡겠다고 나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모든 결제 데이터를 빅테크가 가져가면 국경은 ‘껍데기’에 불과하게 되고 세상의 주인은 빅테크가 된다는 우려도 있다”고 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