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21197.1.jpg)
사병 집단으로 시작한 삼별초
삼별초는 무신정권의 사병 집단으로 출발했다. 규모가 커지고, 군사력이 강해지자 좌별초와 우별초로 분리됐다. 이후 강도정부에서 몽골에 포로가 됐다가 돌아온 사람들로 구성된 신의군(神義軍)이 합세해 삼별초라는 이름으로 재편됐다. 이들은 무신정권과 이해관계가 깊었고, 실제로 권력의 향방에 큰 역할을 한 군사 집단이다. 몽골에 강경했던 항전파인 그들은 배중손과 노영희 등을 주축으로 승화후인 온(溫)을 임금으로 추대한 후에 독자적인 정부를 구성하고 전면전에 돌입했다. 전력은 열세였지만 수군 능력이 뛰어나고 해양의 메커니즘을 잘 파악한 그들은 승부수를 던졌다. 해상의 섬들을 거점으로 해군력을 이용해 연안 지역을 관리하면서, 해전을 벌이는 전략을 선택한 것이다.삼별초군이 불확실한 미래에 운명을 걸고 비장한 결심을 한 채 강도정부를 떠나는 광경을 《고려사절요》는 이렇게 기록했다. “배를 모아 공사(公私)의 재물과 자녀들을 모두 태우고 남쪽으로 내려가는데 구포(仇浦)로부터 항파강(缸破江)까지 뱃머리와 꼬리가 서로 접해 무려 1000여 척이나 됐다.”
삼별초의 진도 정부와 전투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21184.1.jpg)
삼별초는 용장산성을 쌓고 궁궐을 지었다. 정부의 명분으로 해군력을 활용해 전라도 해안의 나주 같은 항구 도시와 곡창들을 공격하고, 세력권 아래에 뒀다. 또한 전략적으로 가치가 풍부하며 국제적으로 활동하기에 적합한 제주도를 점령했다. 이렇게 해서 진도, 완도, 흑산도, 해안의 큰 섬들, 그리고 제주도를 잇는 해양왕국을 완성했다. 일부 사료를 보면 반몽골적인 정서를 가진 일부 백성의 호응을 받았고, 일본에는 ‘고려첩장불심조조’라는 국서를 보내 공동 대응을 모색할 정도였다.
이에 고려와 몽골의 전쟁은 삼별초 정부와 개경정부, 연장된 무신정권과 왕족 및 문신정권, 자주적인 반원정책과 실용적인 친원정책 간의 내부 전쟁으로 변화했다. 원나라는 고려의 분열을 활용해 왕족들과 고려 출신의 홍다구가 지휘하는 고려인들을 참여시킨 여몽연합군을 편성해 400척의 병선으로 공격했다. 대규모 상륙작전으로 용장산성이 함락당하자 온왕(溫王)은 홍다구 부대의 추격을 받아 아들과 함께 사살됐다. 실질적인 권력자인 배중손도 남도포에서 전사했다. 진도정권은 1년 만인 1271년 5월에 붕괴했고, 탈출한 일부 세력은 김통정을 필두로 제주도에 상륙했다.
√ 기억해주세요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3627452.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