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차 키운 부동산·코인
MZ세대로 불리는 2030세대의 자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사회초년생은 물론 30대 대리, 과장급 직장인들에게 공통적으로 일어난 현상이 됐다. ‘2022년 세계 불평등 보고서’ 등을 통해 “양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라는 통계들이 전해지고 있지만 이제 막 사회생활을 하는 2030세대는 시작부터 다른 출발선에 선 것에 큰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한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서둘러 퇴직연금에 가입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거나, 70세 이후까지 은퇴하지 않고 일하겠다는 이들이 늘어나는 이유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MZ세대(1982~1996년생)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22.9%가 2000만원 미만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을 포함한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반면 5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이보다 많은 23.9%였다. 이 가운데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도 16.1%나 됐다.
양극화는 MZ세대 내의 자산 규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자산 4000만원 미만(33.2%)과 2억원 이상(36.1%)이 차지하는 비율이 70%에 달한다. 돈이 아예 없거나 있으면 억단위 자산을 가진 양극화 현상이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연구원은 “이제 막 회사 생활을 시작한 20대부터 수년간 직장 생활을 해온 30대까지 4000만원 미만의 자산을 보유한 이들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반면 고액 자산군으로 분류된 이들은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과 암호화폐 등 기타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불안한 노후에 연금으로 베팅
조기 은퇴를 꿈꾸는 ‘파이어족’이 MZ세대에서 급증하고 있지만 현실은 좀 달랐다. 응답자의 약 60%가 60세 이후를 은퇴 시점으로 정해두고 있었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측은 “평균수명이 갈수록 길어지는 데다 노후 대비가 충분치 못할 것이란 불안감이 반영된 수치”라고 분석했다. 가장 많은 응답자가 60~64세(35.3%)를 은퇴 시점으로 꼽았다. 65~69세(16.0%)가 그 뒤를 이었다. 70세 이후도 8.3%나 됐다. 반면 60세 이전에 은퇴하겠다는 이들도 40.4%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1.3%는 ‘40대 은퇴’를 희망했다.은퇴 준비를 위해 일찍부터 퇴직연금을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이들도 상당했다. MZ세대의 평균 퇴직연금 적립액은 1974만원으로 나타났다. 은퇴 시점 예상 퇴직연금 규모에 대해선 72%가 2억원 미만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노후자금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이 때문에 M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연금을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금 자산 규모가 클수록 퇴직연금을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성향도 나타났다. 총자산 하위 20%는 실적배당형 비중이 33.5%에 불과한 반면 상위 20%는 실적배당상품에 투자하는 비중이 41.4%였다. 일반적으로 실적배당형이 더 높은 수익을 올린다는 통계가 있어 이는 자산 양극화를 더 심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주는 통계라고 할 수 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