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는 등거리 외교와 활발한 무역을 바탕으로 분열된 중국과 공존해왔다. 하지만 몽골의 등장으로 공존과 굴복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고, 정부는 강화로 천도했다. 고려의 강화 천도 사건은 다시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고려 정부의 정통성 문제, 우리가 외세를 대하는 방식 등을 통해 역사의 교훈을 얻기 위해서다.
고려와 몽골의 갈등은 1225년 사신으로 온 저고여의 죽음으로 시작됐다. 1231년 1차 침입이 있었다. 이후 몽골은 내정을 간섭하고, 압박을 가해 무신정권은 천도를 제의했다. 실권자인 최우의 힘으로 고종과 정부는 1232년 7월 6일 강화로 천도했다. 출륙하는 1270년까지 38년 동안 몽골은 고려를 총 아홉 차례 공격했다. 강화 천도를 두고 몽골의 고압적인 태도와 과중한 경제적 보상, 군사의 파병과 군비의 조달, 그리고 정치적 간섭 때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명분보다 중요한 실질적 이유가 있었다.
첫째, 강화도는 수전 능력이 약한 몽골의 공격을 방어하며 장기간 항전하는 데 유리하다.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가 복잡해 외부 세력이 근접하기 힘든 지형이라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그 주장은 일부만 맞을 뿐이다. 강화 수로는 폭이 매우 좁고, 밀물과 썰물을 이용할 수 있어 도강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몽골군은 절대 수전에 약하지 않다. 몽골군은 서쪽으로 진군하면서 발하슈호·카스피해·흑해·볼가강 등을 건넜다. 그들은 최고의 기술자 군을 거느린 다국적 군대였다.
둘째, 강화도는 경제적인 타격을 덜 받으면서 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고려의 국가 재정은 대부분 초기에 설치한 13개 조창을 활용한 시스템으로 충당됐다. 납부된 세곡은 일부가 한강 수로망을 이용했고, 대부분은 서해 연안 해로를 따라 개경까지 운반됐다. 따라서 개경의 입구인 강화도는 조세 시스템을 유지하고, 물자를 공급받는 데 큰 문제가 없었다.
셋째, 강화도는 해양 능력이 강한 고려의 외교에 유리했다. 강화도는 다양한 항로를 이용해 동아시아 어떤 지역과도 방해받지 않고 교류할 수 있었다. 특히 몽골의 적대국인 남송과 무역, 우호관계 등을 추진해 몽골에 외교적 부담을 주고 군사력을 분산시키는 데 유리했다.
넷째, 무신정권은 몽골 제국이 추진한 정복전쟁의 구도를 파악하고, 내부 혼란을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몽골의 대고려전은 세계 패권 전략과 정복전쟁의 일부였으므로 공격 시기와 규모 등의 판단과 계획은 처한 상황과 전체 계획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그래서 40여 년 동안이나 약체인 고려를 전면적으로 공격하지 않았다. 무신정권은 이런 몽골 제국의 정책과 군사전략적 특성을 간파하고, 현실적인 한계를 적절하게 활용했다.
칭기즈칸은 1207년 서하를 공격한 이후 1211년부터 금나라를 공격했고, 1215년에는 수도인 연경(베이징)을 함락하고, 이어 고려를 침입했다. 1221년에는 헝가리와 폴란드를 침공했다. 1231년(고종 18년) 8월에는 사리타이가 고려를 침공했다가 강화로 천도한 해에 용인전투에서 전사했다. 몽골은 1233년 만주를 장악했고, 1234년 1월에는 금을 멸망시켰다. 1236년에는 발트해까지 진격했고, 폴란드 왕국을 공격했다. 1240년부터는 러시아 전토를 지배했다. 1252년에는 아랍의 압바스 왕조를 멸망시키면서 이란 이라크 지역을 점령했다. 1258년에는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이듬해 ‘일한국(Il Khanate)’을 세웠다.
이 거대한 대전투는 모두 강도정부 시절 발생했다. 거대한 전쟁 속에서 몽골에 고려는 금나라와 송나라의 배후세력이라는 지정학적 가치가 있을 뿐 군사전략상으로는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었다. 몽골 군대가 고려와 벌인 아홉 번의 전투는 정부 없는 나라를 약탈하는 수준이지, 본격적인 전쟁은 아니었다. 더구나 몽골은 1259년 몽케 대칸이 남송을 원정하는 도중에 죽자 내분과 혼란에 빠졌다. 결국 동생인 쿠빌라이 칸이 뒤를 잇고, 1271년 국호를 원으로 개칭했다. 그 과정에서 고려는 쿠빌라이의 편을 들어 외교적인 성공을 거뒀다고 본다. 그 결과 유리한 조건으로 1270년 개경으로 돌아가고 항복해 쿠빌라이의 부마국이 됐다.
군사력을 갖추고, 국제질서의 상황을 간파해가면서 유연성과 배짱을 겸한 고려 무신정권의 외교 전략은 현실감이 부족한 지금의 우리에게 교훈을 줄 수 있다.
√ 기억해주세요
몽골에 고려는 금나라와 송나라의 배후세력이라는 지정학적 가치가 있을 뿐 군사전략상으로는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었다. 몽골 군대가 고려와 벌인 아홉 번의 전투는 정부 없는 나라를 약탈하는 수준이지, 본격적인 전쟁은 아니었다. 더구나 몽골은 1259년 몽케 대칸이 남송을 원정하는 도중에 죽자 내분과 혼란에 빠졌다. 결국 동생인 쿠빌라이 칸이 뒤를 잇고, 1271년 국호를 원으로 개칭했다. 그 과정에서 고려는 쿠빌라이의 편을 들어 외교적인 성공을 거뒀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