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분기 서울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해외 여행객 발길이 끊긴 명동 상가는 절반 가까이 비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상업용 부동산 플랫폼 알스퀘어가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3분기 서울의 중대형 상가(3층 이상, 연면적 330㎡ 초과)의 평균 공실률은 9.7%로,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이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주요 상권별로 보면 도심 17.4%, 강남 10.6%, 영등포·신촌 11.8%, 기타 상권 7.2% 등의 공실률을 보였다. 세부 상권 가운데서는 명동(47.2%)이 가장 높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2019년 4분기(4.3%)와 비교해 무려 열 배 넘는 수준이다. 광화문(23.0%), 논현역(19.6%), 홍대·합정(17.7%) 등이 뒤를 이었다.
명동 공실률은 2020년 3분기 9.8%에서 2020년 4분기 22.3%. 2021년 1분기 38.4%로 오르다가 2021년 2분기(37.3%) 잠시 주춤했지만 다시 오름세다. 상가 임대료 역시 대폭 감소했다. 명동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당 19만9700원으로, 지난해 3분기에 비해 30.1% 감소했다. 남대문(-6.6%), 시청(-3.7%), 광화문(-0.2%) 등도 임대료가 줄었다.
다만 압구정, 도산대로 등 패션과 식음료 유행을 주도하는 강남의 ‘트렌드 리딩’ 상권 공실률은 오히려 낮아졌다. 지난 3분기 압구정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7.4%로, 전 분기(9.3%)보다 1.9%포인트 떨어졌다. 도산대로 역시 10.9%로, 1.9%포인트 감소했다. 임대료도 올랐다. 지난 3분기 도산대로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당 4만5900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2.0% 상승했다. 압구정(4만7700원)도 같은 기간 0.8% 뛰었다.
소규모 상가(2층 이하, 연면적 330㎡ 이하) 상황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3분기 서울 소규모 상가 평균 공실률은 6.7%로, 전 분기(6.5%)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명동의 공실률이 43.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홍대·합정(24.7%), 광화문(19.3%), 압구정(17.1%) 등의 순이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도산대로, 압구정 등 유행을 선도하는 상권과 명동과 같은 전통 상권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며 “강북권 상가는 리모델링 등을 통해 건물 자체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