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863.38

  • 1.15
  • 0.04%
코스닥

857.01

  • 9.52
  • 1.12%
1/2

"대책 절실하다"…25년 내 대학 절반 이상 소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책 절실하다"…25년 내 대학 절반 이상 소멸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향후 25년 뒤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수도권과 지방권의 편차, 수도권 세금 의존도 증가에 따른 청년 세대 갈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5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전망 전문가 포럼'에 발표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에 따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예상된다.

올해 기준 국내 대학은 총 385곳이다. 25년 뒤에는 절반(49.4%)만 살아남는다는 예측이다.

특히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올해 331개 대학 중 146곳(44.1%)만 생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17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 이상인 곳은 서울(81.5%)과 세종(75.0%) 2곳에 그쳤다.

반면 강원(43.5%), 대전(41.2%), 경북(37.1%), 부산(30.4%), 전북(30.0%), 경남(21.7%), 울산(20.0%), 전남(19.0%) 등은 상당수 대학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 출생아 수와 초·중·고등학교 학령인구 증감률, 대학별 신입생 충원율 등을 추산해본 결과 2027년부터 출생아의 약 48%가, 2042년~2046년에는 약 49%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태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37~2041년 서울·경기를 제외한 지방에서 초·중·고 학령인구 급감이 불가피하다.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는 "학생 수가 감소하면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고, 정규직 교직원을 채용할 수 없어 비정규직이 증가한다"면서 "지방 대학의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 격차에 따른 인구 유출이 지역 간 청년세대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 수도권 청년들이 많은 세금을 부담하고, 인구 유출로 지방세 수입이 줄어드는 지역들의 수도권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인구와 자본, 산업의 수도권 편중에 대한 조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