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72489.1.jpg)
이날 경매에서는 조선 백자와 병풍·서화, 목가구를 아우르는 명품 182점이 경매장에서 새 주인을 찾는다. 경매에 앞서 17~20일에는 프리뷰 전시를 통해 경매 출품작을 선보인다. 이와 별도로 협회 회원들이 출품한 애장품 300여 점도 같은 기간 일반에 전시·판매된다.
협회가 해마다 의례적으로 치르던 고미술 전시 대신 회원 애장품 경매전을 여는 건 고미술 시장에 새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서다. 양의숙 한국고미술협회 회장은 “고미술은 우리 민족 미감의 원형을 담은 한국 미술의 뿌리”라며 “세계가 한국 문화·콘텐츠에 매료되고 있는 지금, 고미술의 매력을 제대로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축하 인사를 통해 “다양한 명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만으로도 큰 볼거리”라며 “고미술계에 활기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72500.1.jpg)
조선 왕이 내린 군사 명령서나 임명서 등 문서를 보관했던 ‘주칠유서통’도 경매에 나왔다. 큰 나무를 통으로 사용해 팔각으로 만들고 붉은 칠을 한 뒤 뚜껑에는 왕실의 상징인 용을 조각했다.
전시장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명품 도자기들의 아름다움도 만끽할 수 있다. 눈처럼 흰 색과 둥근 형태가 보름달을 닮은 높이 34㎝의 백자호는 추정가 6000만~1억2000만원에 출품됐다. 비뚤어진 곡선이 주는 부정형의 멋이 특히 두드러지는 달항아리다. 이우환의 추상화 작품을 연상시키는 백자철화화문병(추정가 1800만~3500만원)과 독특한 미학이 돋보이는 분청자철화삼엽문장군(1500만~3000만원)도 빼놓을 수 없는 출품작이다.
고미술을 사랑하는 각계 명사들은 응찰가 0원부터 시작하는 무가경매(제로베이스 경매) 행사에 애장품 10여 점을 출품했다. 유 전 청장이 직접 그린 부채 두 점, 원로 배우 강부자와 성우 배한성이 각각 출품한 조선시대 백자청화 도자가 눈에 띈다. 김형국 가나문화재단 이사장이 출품한 조선시대 나무재떨이, 김종춘 전 한국고미술협회 회장이 출품한 고려청자 병도 주목할 만하다. 협회는 수익금 일부를 문화재 보호단체에 기부해 문화재 보호에 쓰이도록 할 계획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