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제2벤처붐 위해 100조원 메가펀드 조성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2벤처붐 위해 100조원 메가펀드 조성해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제2벤처붐’의 시대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공공 데이터센터 구축 등 인프라 강화와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등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12일 벤처창업학회가 서울 서초동 한국벤처투자에서 개최한 ‘제2벤처붐과 벤처창업생태계’ 추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학문적 관점에서 제2벤처붐에 대한 창업생태계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교수는 ‘벤처의 업종·비즈니스 모델 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지금은 네이버, 카카오 같은 기술창업 성공 기업이 스타트업 생태계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대학이나 액셀러레이터의 역할, 투자 부문의 선진화 측면에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개발자 등 인적자원 확충, 인공지능(AI) 연구용 공공 데이터센터 구축, 스타트업과 전통 산업 간의 갈등 관리 등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벤처업계에 따르면 작년 신설법인은 12만3000개, 투자 규모는 4조3000억원에 달한다. 제1벤처붐이 일었던 2000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나 사실상 제2벤처붐 시대에 접어들었다. 허철무 벤처창업학회 회장은 “창업 생태계의 위상은 서울이 글로벌 270개 도시 중 20위에 진입했다”며 제2벤처붐에 대해 설명했다. 차정훈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제2벤처붐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정부 의지를 밝혔다.

투자 금액 100조원 이상인 ‘메가펀드 조성’과 ‘시장 실패 용인’ 등 민간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형구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공공투자의 역할 변화’라는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강 교수는 한국 벤처생태계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벤처금융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를 위해 벤처금융 실패 완화 정책, 글로벌 머니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메가펀드의 등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규제 완화,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창업혁신 생태계 유인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했다.

패널 토론에는 이병헌 청와대 중소벤처기업 비서관, 안현실 한국경제신문 AI경제연구소장, 최영근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 임정욱 TBT 대표,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가 참여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