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은 그동안 교육계가 고민해왔던 문제들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격수업 시스템이 마련되면서 쉽지 않을 것 같았던 도시와 농촌 간 교육격차 해소가 가능해졌습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은 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로 경험한 원격수업이 교육의 장소와 시간을 확장하고, 디지털화를 빠르게 앞당기는 계기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유 부총리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 등을 활용해 학생들이 수업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도 갖춰졌다”고 덧붙였다. 다만 “학교가 학생들의 공감과 소통의 장(場)이자 심리·정서적 지지를 위한 공간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전환과 대면수업 재개가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교육은 어떤 인재상을 추구해야 할까요.“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단순한 지적 노동은 인공지능(AI) 등에 대체될 것입니다. 미래를 위해 어떠한 환경 변화에서도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사람을 길러야 합니다. 학생 한명 한명이 소중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와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한데, ‘고교학점제’와 ‘과밀학급 감축’ 정책이 이런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영국·일본 등 선진국들이 서둘러 대면수업을 재개했습니다.“코로나19 창궐 이후 학생들의 상태를 분석해보니 학습결손뿐 아니라 사회 심리적 발달이나 사회성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대로 가면 개인의 삶뿐 아니라 국가 전체의 생산성에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비대면 수업으로 디지털 인프라가 빠르게 갖춰졌지만 교육의 모든 것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선진국들도 이런 문제의식 아래 대면수업을 재개했다고 생각합니다. 교육부는 내년에 유치원부터 초·중·고교,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육과정에서 완전한 일상회복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면밀히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들의 위기의식이 큽니다.“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경제와 맞닿아 있습니다. 지역대학이 폐교 위기에 처하게 되면 해당 지역경제가 무너지고 다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강화되는 악순환이 나타날 것입니다. 학생들이 지역에서 졸업한 뒤 일자리까지 얻어 살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국토균형발전 방안이 함께 추진돼야 합니다. 지방자치단체와 대학, 기업이 힘을 합쳐 만든 공유대학이 경남에서 1년째 운영 중인데, 좋은 롤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생이 어려운 대학의 경우 구성원을 보호하면서 체계적인 폐교·청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김영삼 정부 이래 최장수 교육부 장관으로 재임하고 있습니다. 소회는 어떻습니까.“사립유치원 K-에듀파인 전면 도입과 유치원 3법 개정을 통해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고교무상교육을 실현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남은 기간 교육 혁신과 학교의 일상 회복을 위해 관련 현안들을 더욱 세심하게 챙기겠습니다.”
최만수/김남영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