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당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했던 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공급망 혼란 등이 해소되면 내년부터는 물가 상승이 둔화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다.
랜들 퀄스 Fed 부의장은 2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베벌리힐스 힐튼호텔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 2021’에 참석해 “내년 봄에도 4% 인플레이션을 보고 있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재평가해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만약 Fed가 경제활동 재개로 인한 최근의 물가 상승에 대응해 이자율을 올리면 공급 병목현상과 함께 수요도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지나치게 낮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둔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퀄스 부의장은 내년이면 병목현상과 공급망 혼란이 사라지면서 물가 상승도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고 있어 임금이 오르고, 공급망 혼란이 생산과 유통에 지장을 줘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런 요인들로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를 훨씬 웃돌고 있지만 내년에는 (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에 대해서는 예정대로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퀄스 부의장은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모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며 “오는 11월 회의에서 테이퍼링을 시작해 내년 중반 마치는 결정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도 공급망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진 않겠지만 6~12개월 동안 꾸준히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520억달러 규모 반도체 지원 법안은 올해 안에 통과될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공급망 혼란에서 비롯된 반도체 부족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미국 내 생산을 늘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는 심각한 국가안보 문제”라며 “미국에서 제조를 늘리도록 연방정부가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프라 투자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세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기업들이 정부에 가장 원하는 것이 인터넷 도로 교량 공항 등 인프라에 대한 투자”라며 “이를 위해 법인세 소득세 등 세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로스앤젤레스=강영연 특파원 yykang@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