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냐 의지냐, 구주냐 신주냐, 전기차 사업에 대한 진정성은 누구에게 있는가. 바로 쌍용자동차 주인 자리를 놓고 본격 경쟁에 들어간 원매자들 사이의 논쟁거리들입니다. 자금력 면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손꼽혔던 SM(삼라마이다스)그룹이 불참하면서 주자간 경쟁은 더 치열해졌는데요, M&A업계에서 보는 시각을 전해드립니다.
'바람 잘 날 없는 남양유업'이라는 말이 꼭 들어맞습니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한앤컴퍼니를 대상으로 '계약 해제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31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야말로 '선빵'을 날린 건데요, 어차피 장기 소송전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홍 회장이 아젠다를 미리 선점하려는 것이라는 법조계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지난 2주 간의 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1. 쌍용차는 과연 누구 품으로?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차의 주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이 진행중입니다. 본입찰에서 예상치도 못했던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이 가장 높은 금액(5000억원 초반대)을 써냈다는 한경 단독 보도 이후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과 둘 중 누가 유력할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아졌죠.전기버스 사업을 하는 에디슨모터스는 SM그룹이 빠지자 가장 유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앞서 KCGI, 키스톤PE를 재무적투자자(FI)로 확보하면서 준비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본입찰에선 2000억원 후반대를 썼다고 합니다. 이엘비앤티 컨소시엄보다 2000억원 이상 낮은 금액이죠.
이에 대해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 관계자는 "재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쌍용차를 회생시키는 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구주 가격보단 추가 증자 규모, 자금 조달 능력, 회생계획의 현실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주는 적게 썼을지 몰라도 추가 증자(신주)는 더 높게 썼다는 자신감이 깔려있는 셈입니다. 이 관계자는 또 "밝힐 순 없지만 전략적투자자(SI) 성격의 투자자도 추가로 확보한 상황"이라며 "자신있다"고도 했습니다.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의 SI라면 시장에 알려진 것처럼 쎄미시스코는 아닐 테고(에디슨모터스의 자회사이기 때문), 또 다른 자동차 관련업체가 합류했다는 뜻일 텐데요, 이건 취재가 되는 대로 다시 리뷰를 쓰도록 하겠습니다.
암튼,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자금력 면에선 "자신있다"고 밝히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합니다. 실제로 에디슨모터스의 강영권 대표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과거 채무 충당 금액이 중요한 건 아니다"며 "추가로 8000억원을 조달해 쌍용차를 회생시키고 에디슨모터스의 지분 매각 등으로 5000억원을 더 조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물론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겠죠. 경쟁사인 이엘비앤티 컨소시엄도 강력한 의지를 밝히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 컨소는 미국 HAAH오토모티브의 한국법인인 카디널원모터스를 SI로 끌어들였습니다. FI로는 파빌리온PE가 참여했고요. 이들은 가장 높은 인수가격을 써내면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일각에선 "연매출 수억원 수준의 작은 회사가 작은 PE랑 손잡았는데 실제로 자금을 얼마나 동원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시각도 나오고 있습니다.
비상장사인 이엘비앤티는 생각보다 알려진 게 많진 않은데요, 제품·기계·설계 디자인을 전공한 김영일 회장이 2008년 설립한 회사라고 합니다. 전기차 전용 7단 트랜스미션을 개발했고,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기업인 사우디국제산업단지회사(SIIVC)와 '사우디 한국산업단지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M&A업계에선 은행 등으로부터 누가 얼마나 자금을 '실제로' 끌어모을 수 있을지, KDB산업은행에 손을 벌리지 않고도 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 M&A업계 관계자는 "결국 핵심은 돈"이라며 "구주, 신주 금액의 여부보다 실제 자금 동원력을 보고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 서울회생법원이 쌍용차의 '회생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죠. 이르면 이번주 안에 우선협상대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곧 누가 자금력에서 앞섰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아젠다 선점하려는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
지난주에는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한앤컴퍼니를 상대로 31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를 한 사건이 화제가 됐었습니다. 계약 파기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이유인데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양측간의 계약서에는 "계약 해제의 책임이 있는 쪽이 이로써 발생하는 손해를 배상한다"는 내용이 포함돼있다고 합니다. 이 주장에 따르면 계약 파기의 원인이 한앤코에 있다는 얘기인데요, 이를 놓고 법조계의 반응은 단순했습니다. 한 마디로 홍 회장이 '선빵'을 날렸다는 겁니다.한 변호사는 "결국 한앤코와의 소송을 피할 수 없게 된 마당에 아젠다을 선점하려는 꼼수"라고 표현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을 놓고 상식 선에서 판단했을 때 계약 파기의 책임은 홍 회장에게 있는 게 명백한데(7월30일 임시주총에 나타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계약을 파기했으므로) 이를 되려 한앤코 책임으로 몰고가려는 '뻔한 수'라는 얘기입니다. 또 다른 변호사는 "결국 법정에서 다 판가름이 나겠지만 송무 전문 법무법인인 LKB앤파트너스(홍 회장측 법률대리인)가 특기를 발휘한 것"이라며 "소송에서 조금이라도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일단 걸 수 있는 소송은 다 걸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실제로 법정다툼을 해봐야 알겠지만, 법조계에선 일단 한앤코에 유리하다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그 이유는 서울중앙지법이 한앤코의 남양유업 주식처분 금지 가처분 소송을 받아들였다는 데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매수측인 한앤코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 건데요, 한 변호사는 이에 대해 "홍 회장이 계약위반의 원인이 한앤코측에 있다는 주장을 소명하는 데 실패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변호사는 "처분금지 가처분은 법원이 쉽게 해주지 않는다"며 "그만큼 한앤코 입장이 강력하다는 방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홍 회장은 오너 일가의 지분 53.08%를 매각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 이 와중에 LKB앤파트너스가 이번 310억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면서 밝힌 워딩이 참 재밌습니다. "한앤코측과의 법적 분쟁을 조속히 끝내고 제3자 매각 절차를 즉시 진행할 계획"이라며 "추가적으로 매도인을 기만한 정황도 다분하기에 그에 대한 형사적 책임추궁 여부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한 부분입니다. 소송전에서 우위를 점하겠다, 적어도 '언론플레이'를 통해 '아젠다 세팅'을 하겠다는 취지로 보입니다. 그리고 소송전이 최소 2년 이상 갈 텐데 어떻게 "조속히 끝내고 제3자 매각 절차를 즉시 진행"할 계획인지도 매우 궁금해집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홍 회장이 송무에 탁월한 법률대리인을 참 잘 선임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실제 소송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정말이지, 남양유업 관련 딜 리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네요.
3. 롯데가 진짜로 인수했다고?
국내 가구업체 한샘을 롯데쇼핑이 품에 안았다는 뉴스도 꽤나 화제가 됐습니다. 롯데쇼핑이 그동안 M&A에선 유독 보수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인데요, 어느 정도 '질러야' 살 수 있는 상황에서 빠른 결정력을 보이지 못했다는 게 그동안의 롯데쇼핑이 가진 이미지였습니다.하지만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가 한샘을 함께 인수할 전략적투자자(SI)로 롯데쇼핑을 선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경쟁자였던 LX하우시스는 매우 놀랐다는 후문입니다. 사실 한샘은 현대백화점이나 신세계백화점도 초반에 눈독을 들였었는데요, 신세계는 까사미아를, 현대는 리바트를 인수한 상황에서 한샘 인수전에 뛰어들 경우 공정위로부터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로 제재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점 때문에 포기했다고 합니다.
암튼, 롯데쇼핑이 그리는 청사진에는 롯데쇼핑과 롯데건설, 롯데하이마트 등과 한샘이 충분히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온·오프라인 연계(O2O)에 공을 들이고 있는 롯데쇼핑으로서는 가구업계에서도 O2O 사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이번 한샘 인수를 계기로 롯데쇼핑의 M&A 전략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도 주목할 대목입니다. 과연 적극적으로 매물을 찾아나설지, "롯데가 롯데했다"는 그간의 비판을 뒤엎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4. 김 열풍에 뛰어든 카무르PE
카무르프라이빗에쿼티(카무르PE)가 국내 김 제조업체 만전식품에 1000억원을 투자키로 했습니다. 김은 K푸드의 대표제품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에서인데요, 이 업체의 김은 일본산 제품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해외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남 목표 대양산단에 국내 최대 규모의 김 원료 공장도 설립했다고 하고요.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딜을 주로 하는 카무르PE는 알짜 중소중견업체 딜을 많이 하기로 유명한데요, 절삭공구 제조업체인 제이제이툴스와 산업용 필름업체 남경하이테크 등을 인수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자세한 건 만전 김 투자를 단독취재한 김채연 기자의 기사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아, 또 한 가지 기억나는 딜이 있었습니다. 토종 화장품 강자 아모레퍼시픽이 더마코스메틱 사업 확장에 나선 건데요. 코스알엑스의 지분 38.4%를 1800억원에 인수한다고 깜짝 발표한 겁니다. 아모레퍼시픽이 국내 기업에 이 정도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만큼 신성장동력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죠.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17일 오후 아모레퍼시픽은 기능성 화장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코스알엑스 지분을 취득한다고 공시했습니다. 취득 예정일은 10월29일. 주목할 부분은 2024~2025년에 걸쳐 아모레퍼시픽이 잔여지분을 추가로 살 수 있는 콜옵션이 포함된 점입니다. 이번 계약이 바이아웃은 아니지만 추후 얼마든지 경영권 인수에 나설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죠. 이에 대해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그렇다고 인정할 순 없지만 그럴 가능성을 열어둔 건 사실"이라고 했습니다(그렇다는 말을 길게 한 셈ㅋ).
아모레의 투자를 받은 코스알엑스는 연매출 800억원 수준의 비상장사입니다. 프로폴리스 앰플, 젤클렌저 같은 민감성 피부용 기능성 화장품에 강점이 있는 회사죠. 국내에선 덜 알려져있지만 해외 매출이 80%를 차지할 정도로 글로벌 사업에 중점을 둔 회사입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소비자가 20대 여성이기 때문에 젊은층으로 소비자를 확대해야 할 아모레퍼시픽 입장에선 20대 마케팅 강화+해외사업 확장을 위해 꼭 맞는 파트너인 셈입니다.
이번 계약이 눈길을 끄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이달 초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창립 76주년 기념식에서 밝힌 '뉴 뷰티' 비전 때문입니다. 서 회장은 "바이오, 더마로 대표되는 고기능 영역과 건강한 삶을 위한 웰니스 카테고리를 집중 육성해 삶의 모든 순간을 아우르는 광의의 라이프 뷰티로 우리의 업을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죠. 이는 "아모레퍼시피이 꿈꾸는 새로운 미래, 비전 2025"의 일환이라고도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제품 카테고리에서 벗어나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하겠다는 서 회장의 목표가 다음엔 어떤 행보로 이어질지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2017년 중국의 한한령에 이어 코로나19 타격까지, 지난 몇 년 동안 바람 잘 날 없었던 아모레가 '뉴 뷰티' 비전을 앞세워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지, LG생활건강에 뺏긴 '국내 1위 화장품 회사' 자리를 되찾을 수 있을지도 잘 지켜봐야겠습니다. 그럼 2주 뒤에 뵙겠습니다.(끝)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