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레딧은 IPO 관련 업무를 담당할 투자은행(IB) 및 로펌을 선정하는 절차에 최근 착수했다. 레딧은 내년 초 IPO를 계획하고 있다. 레딧 임원들은 IPO 때 150억달러 수준의 기업가치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레딧은 약 100억달러의 기업가치를 전제로 한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단 시장 상황에 따라 레딧의 IPO 시기와 규모는 바뀔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10038.1.jpg)
레딧이 화제의 중심에 서면서 기업가치도 치솟았다. 2019년 30억달러 수준이던 레딧의 기업가치는 올해 2월 60억달러로 두 배 상승했다. 지난달에는 2월 대비 40억달러 늘어난 100억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레딧이 내년 초 기업가치를 150억달러로 기대하는 이유다.
레딧 이용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3600만 명 수준이던 하루 평균 사용자(활성사용자 기준)가 지난해 5200만 명으로 급증했다. 스티브 허프만 레딧 최고경영자(CEO)는 “밈 주식 열풍이 한창이던 올해 초 수백만 명의 이용자가 새로 유입됐다”고 했다. 현재 레딧에는 10만 개 이상의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다. 레딧은 주로 광고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 2분기 광고 수익은 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 세쿼이아캐피털, 안드레센호로위츠, 텐센트홀딩스 등 유명 기관투자가들이 레딧에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