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수소 혁명' 전진기지 꿈꾸는 포항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수소 혁명' 전진기지 꿈꾸는 포항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포항시는 2027년까지 수소연료전지 발전 실증화 및 연구개발(R&D), 사업화 등을 선도할 전 주기 생산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30일 발표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사진)은 “최근 이 사업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며 “국내 최대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를 구축해 포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설비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8년 기준 2조2000억원 수준인 연료전지 시장 규모는 연평균 30%씩 성장해 2030년에는 약 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항시는 포항블루밸리국가산단 28만여㎡에 1863억원을 들여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업 집적화단지를 만들고 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과 내구성을 실증하는 부품소재 성능평가 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포항시는 이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R&D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수력원자력, 포스텍(포항공대), 두산퓨얼셀, 포항테크노파크와 공동으로 포항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지난해 6월 체결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23년까지 포항블루밸리국가산단에 1000억원을 들여 연간 4만600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20㎿ 규모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건립하기로 했다.

에쓰오일이 주주로 참여한 연료전지기업 에프씨아이도 2024년까지 이 산단에 600억원을 들여 연간 50㎿ 용량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제품 생산 공장을 짓는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기존 연료전지보다 발전 효율이 높고 크기가 작아 주택용, 건물용, 발전사업용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GS건설은 포항영일만 4산업단지에 태양광과 수소연료전지 발전을 융합한 약 5000억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구축하기로 지난 7월 결정했다. 발전설비 용량은 98.9㎿ 규모다.

김종식 포항시 일자리경제실장은 “발전용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부품 수만 1만여 개에 이른다”며 “수소 개질기와 전해질, 전력변환기 등 전후방 산업효과가 큰 30여 개 수소전문기업을 유치해 수소연료전지 국산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강덕 시장은 “이 사업을 통해 향후 5년간 3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과 2000여 명의 고용 등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수소산업혁명의 꽃을 활짝 피워 어떤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수소연료전지 허브도시 포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포항=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