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전유’란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른 문화집단의 전통문화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어떤 집단의 전통문화가 타 집단에 의해 패션이나 놀잇감으로 소비되는 것에 반감을 표하는 주장으로서 제시되는 개념이다. 주로 백인이 흑인, 히스패닉, 아시아권의 문화나 아이템을 흉내내 콘텐츠 형태로 생산하는 것, 이들 문화에 대한 존중이나 이해도가 배제된 ‘문화적 도용’일 뿐이라는 비판에서 시작됐다. 문화적 전유로 구글링을 해보면 대표적으로 보이는 이미지가 인디언 전통모나 기모노를 입은 백인 모습이다.
최근엔 한국에서도 문화적 전유 논란이 꾸준히 불거지고 있다. 인기 드라마에서 드레드 헤어와 문신을 한 캐릭터가 등장한 것과 유명 K팝 아이돌의 무대 세트에 이슬람 사원 디자인이 사용된 것 등이 문화적 전유라는 비판을 받았다. 문화적 전유는 인종 차별 논란으로도 이어진다. 예들 들어 앞에서 말한 드레드 머리를 하고 등장한 드라마 속 한국인 캐릭터는 ‘모든 흑인은 그런 모습이다’라는 조롱과 차별을 내포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관련 기사와 드라마 클립에 불편함을 느꼈다는 외국인 반응이 대다수였다. 반대로 한국 문화를 외국에 도용당한 사례도 외국 영화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배우 배두나가 출연하고 워쇼스키 자매가 연출한 ‘클라우드 아틀라스’라는 공상과학(SF)영화가 한 예다. 영화의 배경에 등장하는 한국은 다다미방과 벚꽃 벽지로 도배돼 있다. 이외에도 오리엔탈리즘에 버무려진 서양권 콘텐츠에서는 한·중·일 문화가 무질서하게 섞여 있는 것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문화적 전유에 대한 논란이 불거진다는 것은 그만큼 문화의 소비층이 세계화됐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적 전유를 근거로 창작물을 지나치게 비판하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 해당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없이 가져와서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몰지각한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문화적 전유는 창작자나 기획자의 지식 부족으로 인한 디테일의 결함일 뿐, 이것을 소비자가 ‘모욕’으로 받아들이고 비판하는 것은 자칫 표현의 자유를 공격하는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송정효 생글기자(신일여고 3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