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에게 복종을 의미하는 꽃신 잔
사랑과 복종을 나타내는 잔도 있었다. 화혜배(花鞋杯)라고 불리는 꽃신 잔이었다. 사랑하는 여인의 꽃신에 술을 담아 마신 것. 신발에 술을 담아 마시는 것은 그 사람의 가장 아래에 있음을 의미하며, 사랑과 복종의 표시이기도 했다. 이런 문화가 있다 보니 아예 꽃신 모양 잔을 도자기로 빚어 쓰기도 했다. 1970~1980년대 운동화에 막걸리를 담아 마시는 일도 있었는데, 이는 사실 군대의 복종 문화 중 하나였다고 본다. 같은 복종이라도 사랑과 군대는 확연히 다르다. 사랑의 증표로 쓰인 표주박 잔
어릴 적 액세서리 매장에 가면 늘 연인들의 하트 목걸이를 볼 수 있었다. 오직 너와 나만이 이 목걸이를 하나로 만들 수 있다는 의미의, 하트를 둘로 쪼갠 커플 목걸이였다. 흥미롭게도 우리 역사에 비슷한 장면이 있다. 표주박 잔이다. 일반적으로 표주박 잔이라고 하면 그저 물을 뜨거나 막걸리를 마실 때 사용한다고 여긴다. 하지만 아니다. 사랑의 증표로 표주박이 쓰인 것이다. 표주박을 두 조각으로 나눈 뒤 각각에 술을 따라 남녀가 함께 마셨다. 세상에 합쳐서 하나가 될 수 있는 잔은 이 표주박밖에 없으며, 그만큼 서로 사랑한다는 의미다. 이는 혼인식 문화로 이어진다. 신랑 신부가 두 조각으로 나뉜 표주박에 술을 담아 마신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아예 은으로 만든 표주박 잔이 등장하기도 했다. 사냥 본능 상징하는 뿔잔
근대까지도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동물로는 ‘소’를 꼽을 수 있다. 인간과 먹는 게 비슷한 돼지는 인간의 경쟁자로 여겨 잘 키우지 않거나, 잡아먹는 것 자체를 금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소는 인간과 먹는 게 다른 것은 물론 젖과 고기가 나와 농경사회에서 없어선 안 될 아주 중요한 존재였다. 고대인들은 소를 신으로 경배하며 일반 서민은 소고기를 먹지 못하도록 했다. 그만큼 소는 신성하고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그런 소의 뿔 속을 파내 술잔으로 사용한 것이 뿔잔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킹이 자주 사용했다고 하지만, 한반도에서도 신라시대 때 성행한 잔이다. 강인하고 거대한 소의 뿔을 잡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월감을 느끼게 하는 데다 인간의 사냥 본능을 상징하는 잔이기도 했다. 뿔잔을 사용하면 탁자 등에 내려놓을 수 없는데, 그래서 일단 건배를 하면 다 마셔야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과음을 경계하는 잔 계영배
과음을 경계하는 잔도 있었다. 경계할 경(戒), 가득 찰 영(盈) 하여 가득 차는 것을 경계한다는 계영배(戒盈杯)다. 이 계영배의 특징은 술을 가득 부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적당히 7부 정도만 넣어야 한다. 많이 담으면 술이 새도록 구조를 짜놨다. 이는 사이펀의 원리로, 대기압과 수압의 차이를 이용해 기울이거나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 있는 액체를 위로 끌어올려 더 낮은 곳으로 옮기는 것이다. 싱크대, 커피 추출기 등에도 같은 원리의 장치가 쓰인다. 계영배는 단순히 술이 가득 차는 것을 경계한다는 의미만은 아니다. 욕심이 너무 과하면 안 된다는, 과유불급의 의미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한국의 대표적 술잔으로는 유리로 된 맥주잔, 소주잔 그리고 막걸리 사발 등이 있다. 굉장히 획일적이다. 하지만 옛 유래를 살펴보면 다양한 의미를 지닌 술잔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라마와 영화에서도 우리 전통주와 함께 멋진 의미가 담긴 술잔의 모습을 보여주면 어떨까? 와인만 고급스럽게 나오기엔 우리의 전통문화 콘텐츠가 너무 아깝다.
명욱 < 세종사이버대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