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48

  • 1.43
  • 0.06%
코스닥

675.84

  • 2.35
  • 0.35%
1/3

'한국형 아이언돔' 국내 기술 개발…北 장사정포 요격한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군이 국내 기술로 ‘한국형 아이언돔’ 개발에 나선다. 북한이 서울을 겨냥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전진배치한 1000여문의 장사정포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서욱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137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 회의를 열고 국내 연구개발로 ‘장사정포 요격체계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내년부터 2035년까지 약 2조8900억원이 이 사업에 투입한다. 장사정포 요격체계를 도입해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국내 기술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방사청은 2035년까지의 사업 기간은 선행핵심기술 개발 등을 통해 2년 이상 단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사정포 요격체계는 여러 곳에 유도탄 발사대를 설치해 동시에 발사되는 장사정 포탄을 요격하는 돔 형태의 방공망이다. 이스라엘군이 2011년 실전 배치해 운용중인 ‘아이언돔’과 유사한 형태다. 이스라엘 아이언돔은 1개 포대에 대공탐지 레이더와 20발의 요격 미사일로 구성돼 고도 10㎞ 이하에서 적의 포탄을 동시에 요격할 수 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와의 전투에서 아이언돔을 활용해 하마스가 발포한 4000발 이상의 로켓포 중 90% 이상을 요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북한은 MDL 인근에 1000여문의 각종 장사정포를 한국을 향해 배치하고 있다. 이 중 사거리 54㎞의 170mm 자주포 6개 대대, 사거리 60㎞의 240mm 방사포 10여개 대대의 330여문 장사정포는 서울과 수도권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2019년 여러 차례에 걸쳐 시험 발사한 초대형방사포(600㎜)의 최대 사거리는 40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DL 인근에 배치할 경우 한국 전역이 사정권에 드는 것이다.

군은 지난해부터 한국형 아이언돔 본격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2011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직후 이스라엘에서 아이언돔을 도입하는 것을 추진했지만 한국형 아이언돔 자체 개발로 방향을 틀었다. 국방부는 지난해 8월 발표한 ‘2021∼2025년 국방중기계획’에서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 장사정포를 막기 위한 요격체계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형 아이언돔 외에도 ‘수직 이·착륙형 정찰용 무인항공기(드론)’ 사업도 국내 연구개발로 추진된다. 산악지형으로 인해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활주로의 활용에 제약이 큰 만큼 수직 이착륙 드론을 통해 효율적인 공중 감시정찰을 한다는 취지다. 방사청은 감시정찰 능력 강화는 물론 국내 드론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내년부터 2033년까지 1조2800억원이 투입된다.

한편 방사청은 공군의 F-35A 전투기 성능개량 사업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약 3700억원을 투입해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추진한다. 최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적용해 성능 향상에 나서고 미국으로부터의 후속 군수지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다. 육군이 현재 운용하고 있는 노후 치누크(CH-47D) 헬기는 해외에서 구매하는 대형기동헬기로 대체된다. 내년부터 2032년까지 1조3100억원이 투입된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