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5년마다 열리는 '대선테마株 도박판'

관련종목

2024-11-23 06:14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주식시장에는 5년에 한 번씩 큰 ‘도박판’이 열린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될성부른 후보에 베팅하는 대선 테마주장(場)이 그것이다. 올해도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유력 주자들의 테마주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유효기간은 얼마나 될까. 과거 대선 테마주를 보면 대개 대선 9~12개월 전 정점을 찍은 뒤 다시 고점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지주부터 대운하주까지
    1일 덕성은 전 거래일 대비 18.24% 오른 2만9500원에 장을 마쳤다. 회사 관계자들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서울대 법대 동문이라는 이유로 윤 전 총장의 정계 입문 소식에 크게 뛰었다. 사외이사가 이재명 경기지사와 사법연수원 동기라서 ‘이재명 테마주’로 묶인 카스는 지난달에만 108% 뛰었다.

    대선을 1년여 앞두고 후보들의 테마주가 급등하는 건 유서 깊은 증시 행사와도 같다. 그러나 그 역사가 길지는 않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대선 테마주는 기껏해야 제지주, 광고주뿐이었다. 각 캠프가 인쇄물 혹은 TV 광고를 통해 홍보전을 벌였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테마주는 변모한다. 후보 개인이나 공약과 티끌만큼의 연관성만 있어도 테마주로 떴다. 인터넷이 활성화하며 개인투자자 간 정보 교류가 크게 확대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2002년 12월 치러진 16대 대선은 대선 테마주의 태동기로 불린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수도이전 정책을 내세우며 충청권에 연고를 둔 계룡건설이 급등했다. 노 전 대통령이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를 여론조사 양자대결에서 처음으로 따돌렸다는 뉴스가 전해진 2002년 3월, 단 5거래일 동안 계룡건설은 45% 급등했다. 다만 이후 예측 불가능한 전개를 보이며 주가가 지지부진했고, 선거 날에야 큰 폭으로 올랐다.

    대선 테마주가 판세를 키운 건 2007년 17대 대선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선 승리 이후 대운하 테마주인 이화공영 주가가 한 달 만에 두 배로 뛰었고, 대선 1주일 전엔 전년 대비 3096%나 급등했다. 2012년 치러진 18대 대선은 테마주가 크게 힘을 못 썼다. 2011~2012년 증시가 유럽발 위기로 급랭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2017년 19대 대선에선 노 전 대통령 주치의 배우자가 최대주주란 이유로 문재인 테마주로 묶인 우리들휴브레인이 급등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미르-K스포츠 재단 의혹이 제기되기 시작한 2016년 9월 들어 주가가 급등, 단 7거래일 만에 55% 뛰었다.
    대선 직전부터 거품 꺼지기 시작
    대선 테마주의 유효기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대선 9~12개월 전에 주가가 정점을 찍고 대선 직전 고점 회복을 노리다가 실패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주식시장이 으레 예정된 이벤트를 미리 반영해 나가듯, 대선 테마주 역시 대선을 미리 예상해 움직이는 것이다. 계룡건설은 16대 대선 1주일 전부터 다시 급등했으나 9개월 전 고점을 회복하지 못했고, 우리들휴브레인도 19대 대선 8개월 전 기록한 고점을 문 대통령 당선 직전까지 회복하지 못했다.

    당선 약 2주 전부터 서서히 거품이 꺼지고 원래 주가로 돌아가는 것도 공통점이다. 이화공영은 이 전 대통령 당선 약 2주 전 정점을 찍고 급락하기 시작했고, 우리들휴브레인은 그보다 앞선 한 달 전부터 하락세가 시작됐다. 증시 전문가들은 대선 때마다 펀더멘털과 무관한 테마주장에 편승하지 말라고 권고하지만 한탕을 노리는 투자자들은 오늘도 대선 테마주에 손을 댄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