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재 ‘공급 절벽’ 사태 우려
국내 석유화학 대기업들이 원유를 정제해 플라스틱의 원료가 되는 에틸렌을 제조하면 플라스틱 제조업체가 이를 가공해 전기·전자부품 등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한다. 주요 합성수지 제품인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식품·생활용품 포장재, 농업용 비닐하우스(필름),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전극 보호제, 플라스틱 병뚜껑 등 다양한 곳에 쓰인다.플라스틱 제품 제조의 기초가 되는 국제 유가(미국 서부텍사스원유)는 지난 3월 배럴당 60.97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9% 급등했다. 4월 기준 LDPE 가격은 t당 1521달러로 1년 전(850달러)보다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시화산업단지의 한 플라스틱 제조업체 사장은 “이대로라면 오는 7~8월 공장 가동률이 50%대로 떨어질 것”이라며 “팔면 팔수록 손해인데 누가 공장을 가동하겠냐”고 토로했다.
국내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체는 2만943개로 99%가 중소기업이다. 종사자는 23만6222명, 연간 생산액은 56조원에 달한다. 플라스틱 제조업체의 공장 가동률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에도 평균 90%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비닐 포장재에 들어가는 LDPE 관련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이달 80%로 떨어진 상태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반도체·전기·전자부품, 자동차부품, 건축자재, 기계장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양순정 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상무는 “LDPE를 주문하면 두 달 뒤에야 도착할 정도로 수급 상황이 심각하다”며 “수주한 플라스틱 제품조차 납품이 어려워 추가 수주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관세까지…엎친 데 덮친 격
플라스틱 제조업계는 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도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는 2019년까지 LDPE에 대해 수입량 전량에 ‘할당관세’를 적용했다. 할당관세란 산업경쟁력 강화나 물가 안정 목적으로 한시적으로 기본 관세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중간재로 많이 쓰이는 LDPE의 특수성을 고려해 자동차부품 및 전기·전자부품의 수출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할당관세를 적용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은 8%의 관세를 부담하지 않고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었다.작년부터 정부는 LDPE에 대해 수량을 한정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LDPE의 수입 물량 비중을 줄이고 국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다. 작년 10만2000t, 올해 9만1800t 수준으로 기존 수입량 수요의 60% 수준만 무관세 혜택을 주고 있다.
중소기업계엔 이 같은 정부의 조치가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는 분석이다. 플라스틱 제조업계의 상황이 악화하면서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초 정부에 LDPE 수입량 전량에 할당관세를 적용해줄 것을 건의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해 현재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환 중기중앙회 국제통상부장은 “중소기업의 45.3%가 판매 가격에 원자개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내 중소기업이 원자개 가격상승과 공급부족에 대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