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AA.25945132.1.jpg)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가치(AUM)는 지난달 말 기준 56조358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에 비해 10조7416억원 늘었다. 국내 공모 주식형 펀드(21조원)의 두 배가 훨씬 넘는다. 그 결과 한국 ETF 시장 규모는 홍콩을 제치고 일본(5450억달러, 약 615조원)과 중국(1680억달러, 약 189조원)의 뒤를 잇는 아시아 3위가 됐다.
ETF는 고액 자산가들의 중요한 투자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10억원 이상 굴리는 자산가의 포트폴리오에서 ETF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1월 8.54%에서 올초 17.66%로 급증했다. 고위 공직자도 ETF를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고위 공직자 재산신고를 통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KINDEX 중국본토 CSI300 ETF와 삼성자산운용의 KODEX200 ETF에 7000만원가량을 투자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ETF는 인덱스펀드를 상장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상품이다. 특정 종목에만 투자할 경우 발생하는 위험을 분산해주는 장점이 있다. 성준석 KTB자산운용 매니저는 “ETF는 개별 산업과 테마에 맞는 다양한 투자가 가능해 고액 자산가를 포함한 모든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전범진/박재원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