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90566.1.jpg)
게임 플랫폼 기업 로블록스(RBLX)가 뉴욕 증시에 상장한 당일 캐시 우드의 아크 인베스트는 로블록스를 포트폴리오에 편입했다.
일명 ‘미국의 초통령 게임’으로 불리는 로블록스는 10일(현지시각) 뉴욕거래소에 직상장했다. 전날 정해진 기준가 45달러보다 43.33% 높은 64.50달러로 거래를 시작했다. 시초가보다 8% 오른 69.50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시가총액은 382억6000만달러(약 43조 6000억원)를 기록했다.
이날 아크인베스트의 간판 상장지수펀드(ETF)인 ‘아크 넥스트 제너레이션 인터넷 ETF’(ARKW)가 로블록스 주식을 50만주 이상 매수했다. ARKW의 포트폴리오 0.5% 가량이 로블록스로 채워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90568.1.png)
10일 종가 기준으로 ARKW가 보유한 로블록스 지분은 3610만달러(약 408억원)에 달한다.
이날 아크가 매수한 로블록스는 미국의 게임 플랫폼 기업이다. 2004년 설립된 회사로, 미국의 16세 미만 청소년의 55%는 로블록스를 이용한다. 레고나 마인크래프트를 연상시키는 각진 아바타를 이용해 가상세계 내에서 스스로 게임을 개발하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몰라도 직관적으로 게임을 만들고 유통할 수 있는 일종의 플랫폼이자 커뮤니티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90569.1.jpg)
지난해 코로나19로 어린이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로블록스도 수혜를 봤다. 매출이 전년 대비 82% 증가한 9억2400만달러에 달했다. 일일 활성 이용자도 역시 80% 증가한 3260만 명 수준이다.
로블록스의 성장 속도는 가파르다. 설립 이래 총 누적 매출의 절반을 최근 1년 안에 벌어 들였기 때문이다. 2004년 회사를 세운 후 지난해 5월까지의 누적 매출이 10억달러인데, 지난해 5월 이후 11개월 만에 또 다시 10억달러 매출을 올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90567.1.png)
한편 클라우드, 전자상거래, 빅데이터 등 신성장 인터넷 기업을 담는 ARKW는 지난해 151%에 달하는 수익률을 냈다. ARKW를 비롯해 아크 인베스트의 ETF가 일제히 100% 넘는 고수익을 내면서 CEO인 캐시 우드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스타’가 됐다.
하지만 지난 2월 이후 ARKW는 20% 가까이 하락했다. 금리가 상승하고 경기 회복세가 짙어지자 성장주 주가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90565.1.jpg)
아크 인베스트는 매일 어떤 종목을 사고 팔았는지 공개한다. 다른 유명 펀드들이 월별, 분기별로 보유 주식을 공개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