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최정우 회장(사진) 연임안에 중립을 지키기로 했다. 정치권의 연이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최 회장 연임에 반대할 명분이 없다고 본 것이다. 최 회장 연임이 사실상 확정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수탁위)는 9일 회의를 열고 포스코 등 투자 기업의 의결권 행사 방향을 결정했다. 이날 수탁위 논의의 핵심은 최 회장 연임건이었다. 포스코는 오는 12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최 회장 연임안건을 표결에 부친다. 국민연금은 여기서 중립을 지키기로 결론 내렸다. 나머지 주주의 찬반 비율에 맞춰 의결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은 포스코 지분 11.17%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다른 주요 주주는 씨티은행(7.41%), 우리사주조합(1.68%)뿐이고 소액주주 비중이 74.3%로 절대적이다. 최 회장이 연임에 성공하기 위해선 출석 주주 과반수의 찬성을 확보해야 한다. 비(非)소액주주 지분의 40%가량을 차지하는 국민연금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 이유다.
최근 여당 일각과 시민단체, 금속노조 등은 연일 최 회장 연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 회장이 취임한 2018년 7월 이후 포스코의 안전사고가 급증했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다. 지난 3일에는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강은미 정의당 의원이 ‘최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란 제목의 토론회를 연 데 이어 이날은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포스코 경영진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자사주를 사들였다며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달 15일에는 이낙연 민주당 대표가 국민연금을 향해 “포스코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국민기업이 되도록 ‘스튜어드십 코드’를 제대로 시행해 달라”며 사실상 국민연금에 반대표를 던지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정치권의 이 같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은 반대표를 행사하지 않기로 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등 대외내 악재 속에서 수익성 방어에 성공하며 영업이익 2조4030억원을 거뒀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최 회장은 철강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2차전지 소재, 수소 등으로 확대해 포스코의 사업 구조를 다변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책임을 최고경영자(CEO) 한 사람에게 돌리는 것도 논리적으로 납득하기 힘들 뿐 아니라 최 회장이 수차례 올해 역점 사항으로 안전을 내세운 만큼 연임에 반대할 이유를 찾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만수/황정환 기자 bebop@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