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8월 본격화하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 서비스를 앞두고 개인이 너무 많은 사업자를 동시에 선택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경고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박씨처럼 개인정보를 많은 서버에 저장할 경우 해킹 등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금융위원회 허가를 얻은 사업자는 28개에 이르며 조만간 35개를 넘어설 전망이다.
“개인정보 여러 곳에 두지 않게”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자들이 필요한 만큼만 사업자를 고를 수 있게 안내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새로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 지금까지 가입한 회사가 몇 곳인지 알려주고, 필요 없어진 서비스를 곧바로 해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개인들이 고를 수 있는 전체 사업자의 숫자까지 강제할 수는 없지만 통합조회 서비스를 제공해 의미 없는 곳에 정보가 머물게 하지 않겠다는 게 금융위의 생각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여러 장치를 마련했지만 유출 사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보다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통합 조회 시스템 등을 포함한 소비자 보호 방안을 이달 발표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업체는 현재 28개에서 40개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카카오페이가 2대 대주주인 중국 앤트파이낸셜의 제재 확인 절차로 허가를 얻지 못했고 하나금융지주 계열사 네 곳과 삼성카드, 경남은행 등은 모기업의 소송절차 진행 등으로 심사가 중단됐지만 사업권 확보는 시간문제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융위는 다음달에 다시 예비허가 절차를 시작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마이데이터 사업은 이제 첫발을 떼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장에서 제안하는 여러 서비스를 폭넓게 시도해 볼 필요가 있어 허가업체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이데이터도 승자독식 구조
업계는 오는 8월 표준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구축을 계기로 네이버·카카오를 두 축으로 하는 빅테크와 은행·보험·신용카드사 등 일반 금융회사, 그리고 핀테크 업체 간 ‘3파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그때부터는 사업자들이 이용자 동의만 받으면 복잡한 스크래핑 기술을 쓰지 않고도 표준화된 금융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저장할 수 있다.플랫폼 비즈니스의 승자독식 특성을 고려할 때 업체들은 저마다의 ‘킬러 콘텐츠’를 내세워 대대적인 마케팅 공세에 나설 수밖에 없다. 국민은행은 나이스평가정보를 이용해 개인 신용점수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주거나 KB캐피탈 시세 정보를 끌어와 상세한 중고차 시세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가입자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가입자 1800만 명을 확보한 토스 관계자는 “기존에 많이 쓰던 플랫폼에서 다른 곳에서 갈아타도록 유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초반에 승기를 누가 쥐느냐에 따라 마이데이터 사업의 승부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처음에는 독특한 서비스에 끌려 사업자를 선택하겠지만 나중에는 이용빈도가 줄어들면서 가입 사실조차 잊을 수 있다”며 “개인정보를 맡길 때는 물론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서/박진우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