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전기 화물차 시장이 본격적인 태동기를 맞았다. 2019년 말 현대차 포터 EV로 열린 시장은 지난해에는 기아차 봉고 EV가 가세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14일 완성차 업계 판매량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포터 일렉트릭(EV)과 봉고 EV 판매량은 각각 9037대, 5357대로 총 1만4394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전기차 가운데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렸던 테슬라 모델3(1만1003대) 보다도 더 많이 팔린 셈이다. 또한 이는 테슬라 브랜드의 지난해 전체 판매량(1만1826대)도 웃돌았다.
소형 전기 화물차 시장은 2019년 12월 현대차 포터 EV가 출시돼 같은달 163대 팔리며 시작됐다. 이후 기아차 봉고 EV가 지난해 1월 출시돼 본격적으로 태동기에 들어섰다. 단순 연간 성장률은 8830%에 달한다.
전기 화물차는 일반적인 내연기관 화물차에 비해 가격이 비싸지만, 보조금을 적용하면 차이가 없거나 더 저렴해진다. 포터 EV 가격은 슈퍼캡 초장축 모델 스마트 트림이 4060만원이다. 동급 내연기관차인 포터2 슈퍼캡 초장축 스마트 A/T 가격은 1833만원으로 전기차의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
지난해 봉고 EV GL 트림을 구입했다는 한 소비자는 "4070만원인 봉고 EV GL트림을 국고 보조금 1800만원을 받아 구매했다"며 "당시 지자체 보조금은 받지 못했지만, 제조사에서 이를 감안한 할인을 해줘 2070만원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동급 내연기관 모델 가격은 1923만원이다.
지난해 소형 전기 화물차를 구매할 경우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해 서울에서는 2700만원(지자체 900만원), 경기도에서도 2600만원(지자체 800만원)이 지급됐다. 올해 국고 보조금은 16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00만원 줄어든다. 지자체 보조금도 이에 연동해 약 100만원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더라도 여전히 차 값의 절반 이상을 아낄 수 있어 내연기관 모델보다 저렴하다는 평가다. 4060만원인 포터 EV가 2400만원의 보조금을 받으면 1660만원이 된다. 동급 내연기관 모델보다 170만원 가량 저렴하다.
전기 화물차를 구매하면 신규 허가가 제한된 화물운수사업자 면허가 나온다는 것도 장점이다. 신규허가가 제한된 탓에 소형 화물차로 사업을 하려면 기존 면허 소유자에게 웃돈을 주고 번호판을 양도받아야 하지만, 소형 전기 화물차를 구매하면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신규 면허를 받을 수 있다.
전기 화물차는 주행거리가 210km 내외로 짧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내연기관 화물차도 실제 운행하는 거리는 짧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서울시에 따르면 1t트럭의 절반 이상은 주행속도가 10km/h 이내이며 매일 도심 골목에서 43km를 운행한다. 화물차는 화물을 옮기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그런 역할은 대형 화물차가 맡고 소형 화물차들은 도심 내 거점 창고와 골목상권을 오가기 때문이다.
연료비가 크게 절감된다는 장점도 있다. 경유 차량인 포터2로 하루에 60km를 운행하는 경우 유류비는 약 8300원(L당 1421.47원)이 든다. 하지만 포터 EV는 완속 충전을 할 경우 약 3000원(1㎾h당 160원), 급속충전을 해도 약 5000원(1㎾h당 255.7원)이면 완충이 가능하다. 정차와 공회전 등을 감안하면 연료비 절감 효과는 더욱 늘어난다.
다만 소형 전기 화물차도 한계는 있다. 주행거리가 210km 내외에 그치는 탓에 추가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냉장·냉동 설비를 갖추기 어렵다.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신선식품이나 백신 등의 운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전기차를 제외하면 전기 화물차에 냉장이나 냉동 탑차를 시공하는 경우가 사실상 없다"며 "전력 소모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소형 전기 화물차를 더욱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배출가스 절감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대기오염에서 도로이동이 미세먼지의 70%, 질소산화물 발생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가운데 미세먼지의 50%와 질소산화물의 40%는 화물차가 내뿜는다. 국내 전체 화물차의 70%는 1t 트럭이다. 배출가스에서 소형 화물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 뿐만 아니라 도심 내에서 잦은 정차와 공회전을 하는 주행 특성을 가진 탓에 국민 건강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준다.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예산으로 지난해 8188억원보다 28% 증가한 1조500억원을 배정했다. 소형 전기 화물차 지원 대수도 지난해 1만3000여대에서 올해 2만5000대로 늘린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8830% 성장한 소형 전기 화물차 시장은 올해도 약 74% 커지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내연기관 포터와 봉고 판매량은 14만대 규모였다는 점에 비춰 EV 모델 판매는 내연기관의 10% 수준에 그친 것"이라며 "정부와 지자체들이 소형 전기 화물차 보급을 추진하는 만큼 시장 규모가 더 커질 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