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에너지 시장에서 한국이 ‘봉’으로 찍힐 수 있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의 급등세를 지켜보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LNG의 에너지 의존도가 높아지는 데 따른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국내 도시가스 및 전기요금의 불확실성이 커질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매년 늘어나는 LNG 수입량
11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한국은 일본, 중국과 함께 LNG 수입대국으로 꼽힌다. 일본이 연간 8800만t으로 가장 많다. 한국은 중국과 함께 연간 4000만t가량을 수입한다. 국내 LNG 수입 규모는 매년 늘고 있는 추세다. 2018년엔 4402만t까지 치솟았다. 당시 혹한에 따른 난방수요 증가에 더해 원전 정비물량이 늘면서 LNG 발전량이 증가했다는 것이 정부의 공식 설명이다.국내 에너지공기업인 한국가스공사는 해당연도의 날씨와 발전량 등을 고려해 매년 재고량을 관리한다. LNG 재고가 수요보다 지나치게 많으면 관리비용이 커져 적절한 재고관리가 필수적이다.
문제는 LNG가 탄소배출은 적게 하지만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통상 LNG 선물가격은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제 유가와 연동된다. 현물도 유조선을 통해 적시에 들여오는 공급이 한정된 상황에서 수요에 따라 가격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 석탄과 원자력 발전 비중을 줄이는 대신 LNG 발전 비중이 커질수록 에너지 비용도 널뛰기할 우려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둘러 현물 사들이는 가스공사
최근 LNG 가격 급등도 이 같은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급변동 가능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2019년 LNG 수입량은 4075만t으로, 전년(4402만t)에 비해 줄었다. 2019년은 기상관측 이래 가장 따뜻한 겨울이 찾아온 해다. 가스공사도 이에 맞춰 2020년도 재고계획을 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발전수요도 줄면서 LNG 수입가격은 지난해 4월 사상 최저치인 1.675달러까지 떨어졌다.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동북아시아 지역에 기록적인 한파가 찾아오면서 전력수요에 비상이 걸렸다. 석탄발전 가동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LNG 재고량도 급격히 줄어들자 가스공사는 서둘러 LNG 현물을 사들였다. 공급이 한정된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국과 일본 현물시장(JKM)에서 LNG 가격은 지난 8일 100만BTU(열량단위)당 21.453달러까지 치솟았다. 코로나 직전인 2020년 1월의 5달러에 비해 네 배 이상 폭등한 수준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당분간 재고는 충분하다”면서도 “이 같은 현상이 계속되면 비싼 가격을 주고도 현물을 사들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한 국내 업체는 이달 초 27.80달러라는 사상 최고치 가격에 LNG 현물을 사들이기도 했다.
도시가스 요금 상승 이어지나
한국과 에너지 수급 구조가 비슷한 일본도 LNG 공급 부족에 시달리면서 도매전기요금이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고 있다. 반면 정부는 LNG 가격 인상이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강조했다. 통상 가스공사는 전체 물량의 70%가량을 5~10년 기간의 중장기 계약으로 들여오기 때문에 현물가격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다.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르다. 도시가스 요금은 일반 전기요금과 달리 LNG 원료비에 연동돼 적용된다. 요금의 약 80%를 차지하는 원료비 항목은 LNG 수입단가에 연동해 조정된다. 실제 정부는 코로나19 여파로 LNG 수입단가가 낮아지자 지난해 7월 도시가스 요금을 평균 13.1% 낮추기도 했다. 반대로 수입단가가 오르면 가스공사가 적자를 감수하지 않는 한 요금을 올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LNG 가격 상승현상은 경기 회복 추세와 맞물려 수년 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과 일본의 LNG 가격 급등은 재생에너지와 함께 LNG의 변동성이 얼마나 큰지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국제 LNG 가격은 우리 힘으로 통제할 수 없다”며 “연료비가 상승하면 도시가스 등 전기요금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경민/성수영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