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872240.1.jpg)
한은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지난해 3월 임시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0.75%로 0.5%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5월 사상 최저인 연 0.5%로 추가 인하했다. 이후 네 차례 열린 금통위 때마다 금통위원 7명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이어갔다. 코로나19로 실물경제가 위축된 만큼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봤다. 기준금리를 내릴 경우 과열 양상을 보이는 부동산 등 자산시장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실효하한(자본유출이나 유동성 함정 우려가 없는 금리 수준의 하단)에 닿았다는 분석도 많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또 내리면 기준금리는 연 0.25%로 떨어져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연 0~0.25%) 상단과 같아진다. 이 경우 외국인 투자금 유출 등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한은은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보다 국고채 매입을 통해 시장 금리를 낮추는 데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명실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한은은 올해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하는 가운데 국고채 매입 조치를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은은 2022년에나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한국 경기는 올해 3분기에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될 것”이라며 “한은이 이를 고려해 2022년 2분기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