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을 수탁·관리하는 업체에 전략적 투자를 했다. 은행이 디지털 자산 수탁 시장에 공식적으로 뛰어든 첫 사례다. 전 세계 금융회사들이 디지털 자산 관리 사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가운데 국내 은행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질 전망이다.
국민銀, 은행권 첫 전략적 투자
국민은행은 디지털 자산 관리 기업인 한국디지털에셋(KODA)에 지분 투자를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수억원대로 알려졌다. KODA는 국민은행과 블록체인 기업 해치랩스,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가 공동 설립한 회사다. 네트워크가 차단된 환경에서 고객의 디지털 자산을 맡아 안전하게 보관해주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국민은행은 이 회사를 통해 가상자산 관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다. 그러나 은행법상 은행이 직접 가상자산을 수탁할 수 없어 우선 투자 형태로 사업에 물꼬를 텄다는 설명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유무형의 자산이 디지털화되면 이를 안전하게 보관·거래 및 투자하기를 원하는 수요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 회사를 ‘디지털 자산업계의 은행’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상자산 보관업 경쟁 막 올랐다”
주요 은행들도 가상자산 수탁·관리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기업 여러 곳과 제휴해 디지털 자산 보관 기술, 개인 키(열쇠) 기술 검증 등을 마쳤다. 농협은행은 올 들어 법무법인 태평양 및 블록체인 업체 헥슬란트와 손잡고 디지털 자산 보관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인공지능사업부(AI)와 계열사인 우리펀드서비스 등에서 관련 사업을 준비 중이고, 하나은행은 한국은행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사업과 관련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은행들이 분주해진 것은 디지털 자산 관리 시장의 패러다임이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범위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뿐 아니라 게임 아이템, 디지털 예술작품, 부동산 수익증권, CBDC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몇 년 내에 현금과 디지털 자산의 경계가 허물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해외에서는 미국 통화감독청(OCC)이 지난 7월 은행에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를 허용했다. 동남아시아 최대 은행인 싱가포르개발은행(DBS)은 가상자산 거래소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은행들의 참여가 본격화됐다.
한국에서는 내년 특금법(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가 시작되면 관련 자산 관리 사업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문건기 KODA 대표는 “고객에게 신뢰를 줘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시작으로 자산 보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국내에서는 아직 디지털 자산 관련 법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지만 제도가 뒷받침된다면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소람/오현아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