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신용대출 규제가 오는 30일부터 시행되면서 대출 막차를 타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용점수 관리는 필수다. 금리가 높은 대부업 대출과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 이용은 신용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용카드 숫자는 상관이 없지만 할부거래가 많으면 신용점수에 좋지 않다. 통신·공공요금을 성실하게 납부하는 것만으로도 신용점수를 높일 수 있다.
신용등급, 내년부터 점수제로 전면 개편
신용등급은 나이스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와 같은 개인 신용평가사가 정하는 기준이다. 신용평가사는 개인에 대해 '향후 1년간 90일 이상 연체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소득, 자산 등을 통해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결과는 1~1000점의 점수로 내려지고 다시 1~10등급으로 나뉜다. 그동안은 신용등급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신용점수제로 바뀐다. 이미 5대 은행(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이 시범 운용 중인데 내년에는 전 금융권에 적용된다.
신용등급제는 저신용자들에게 불이익이 많았다. 가령 1등급과 2등급의 금리 차이가 평균 1%포인트(p) 내외라면, 6등급과 7등급의 금리 차이는 평균 2~3%포인트를 훌쩍 넘는다. 특히 근소한 차이로 등급이 낮아져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문턱 효과는 문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현행 신용등급제의 경우 등급간 이동이 어렵고 등급 차이로 인한 불이익이 크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점수에 기반한 세분화된 심사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 신용 제공을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소득·대출 비율에 연체 가능성 대입
소득과 대출은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다. 다만 소득이 높다고 신용점수가 무조건 높은 건 아니다. 반대로 대출이 많다고 신용점수가 낮아진다고 할 수 없다.신용점수는 소득과 대출의 비율을 기본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반영해 결정된다. 소득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대출 대비 현재 대출 규모(대출 한도 소진율) 등에 차주의 연체 가능성을 대입해 만들어진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고 대출이 많아도 연체 가능성이 낮다면 더 높은 신용점수를 받을 수도 있다.
과거에는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것만으로도 점수가 떨어졌지만 현재는 아니다. 2011년 10월부터 신용점수 조회가 평가 항목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매달 24만명이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신용정보 조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도 신용점수 조회가 평가에 반영되지 않아 가능한 일이다.
연체는 금물, 할부도 줄여야
신용점수를 떨어뜨리는 가장 큰 원인은 연체다. 10만원이라도 연체하게 되면 신용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연체할 때마다 신용점수 50점이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며 "대출 이자가 아닌 통신비, 세금, 건강보험 연체도 악영향을 미친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반대로 성실한 납부는 신용점수를 올리는 열쇠다. 대출 이자는 물론이고 예·적금을 기한 내에 6개월 이상만 납부해도 신용점수는 최대 50점 가량 올라간다.
같은 금액이라도 금리가 높은 대부업체 대출을 이용한다면 시중은행을 이용할 때보다 신용점수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이자부담은 연체 확률을 높이는 리스크로 평가된다. 대출이 여러 개 있다면 가장 오래된 대출부터 갚는 게 신용점수에 좋다. 대출 기간이 길수록 연체 확률이 높아져서다.
생활 속 소비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신용점수를 높일 수 있다. 체크카드만 사용하는 것보다 신용카드를 사용한 후 연체 없이 갚아나가는 게 신용점수에는 더 유리하다. 신용카드 할부거래는 부채가 되기 때문에 최대한 짧게 줄여야 한다. 주로 신용카드를 쓴다면 한도의 30%를 넘지 않는 것도 신용점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