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식품 배송이 늘면서 아이스팩의 유통량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아이스팩의 처리가 어려워 시민들과 지방자치단체들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국내 아이스팩 사용량은 2016년 1억1000만 개에서 지난해 2억여 개로 증가했다. 올해는 3억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이스팩은 버리는 게 까다롭다. 대부분의 아이스팩은 내용물이 젤리와 같은 고흡수성 수지다. 고흡수성 수지 아이스팩은 하수구에 내용물을 버리지 말고 통째로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한다. 그대로 하수구에 버리면 배관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리수거도 안 된다. 일부 소비자는 아이스팩을 방향제로 재활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쌓여가는 아이스팩을 모두 재활용하기는 어렵다. 일부 지자체는 주민센터에 아이스팩 전용 수거함을 설치해 이를 모으고 있다. 모인 아이스팩은 선별 작업을 거쳐 전통시장 등에 전달돼 재활용된다.
조광한 경기 남양주시장은 지난 3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더 늦기 전에 국가적인 아이스팩 재사용 활성화 대책 마련을 청원합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조 시장은 해당 글에서 아이스팩의 표준 규격화와 재사용 총량제 법제화 등을 요구했다. 남양주시는 지난 9월부터 아이스팩 보상 수거 개념을 도입한 ‘아이스팩 나이스팩’ 사업을 시작하고 아이스팩 5개를 가져오는 시민에게는 이를 종량제봉투로 교환해 주고 있다.
남는 아이스팩을 필요한 가게에 주는 온라인 서비스도 나왔다. 지난 8월부터 시작된 ‘리아이스팩’은 아이스팩 처리에 난감한 소비자와 아이스팩 구매에 부담을 느끼는 신선식품 업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다. 서울, 경기 일부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이 서비스를 개발한 정영길 씨는 “개인적으로 ‘제로웨이스트’ 운동을 실천하다가 내 개발 능력을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전국으로 확대되면 좋겠다는 시민들의 반응도 있다”고 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