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공업은 제조업이라는 틀을 깨고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으로 가고 있습니다.”(원유현 대동공업 총괄사장·사진) 국내 1위 농기계 회사인 대동공업이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진화’를 선언했다. 창사 73년 만에 가장 큰 변화를 시도하고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ICT 도입으로 변화에 시동
대동공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경제 활동이 위축된 지난 상반기에 오히려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연결 기준 매출 4920억원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했다.원유현 사장은 “지난 73년 동안 쌓은 생산 노하우를 발휘해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중단 없이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코로나 확산 이전부터 일하는 방식을 바꿔 빠른 의사결정을 내린 것도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취임한 원 사장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해 일하는 방식을 바꿔나갔다.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에서 일했던 원 사장의 눈에 대동공업은 일사불란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장점은 있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보였다.
그는 “지난 1월 기업문화팀을 신설한 뒤 서울사무소를 리모델링했다”며 “1인당 사무실 공간을 절반으로 줄여 회의실을 확보하고, 화상회의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도입해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했다”고 했다. 미리 준비한 화상회의 시스템 덕분에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월 이후 대구공장과 서울사무소, 경남의 창녕연구소는 화상회의로 중요한 안건들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북미시장 공략 ‘성과’
코로나19 확산으로 직격탄을 맞은 대구에 자리잡은 대동공업 공장은 정상 가동을 이어갔다. 대구 인근의 부품업체들이 생산에 차질을 빚고, 코로나가 빠르게 퍼진 중국 인도 등에서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이 회사는 오랜 노하우를 통해 충분한 재고를 확보했다. 존디어 등 글로벌 농기계업체들이 셧다운으로 생산을 중단한 가운데 대동공업은 북미법인 발주 물량을 차질 없이 맞출 수 있었다.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삼았다. 대동공업 북미법인인 대동USA는 공격적인 프로모션에 나섰다. 이 결과 대동USA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5% 증가한 1999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회사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대동공업은 북미시장에서 틈새시장을 집중 공략해 온 기존 전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존디어, 구보타 등 글로벌 거대 농기계업체가 선점하고 있는 중대형 시장 대신 20~30마력 트랙터라는 틈새시장을 노리고 있다. 원 사장은 “현재 16% 수준인 시장점유율을 공격적인 프로모션과 금융지원 등으로 2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집중되는 매출의 계절성을 극복하기 위해 호주 등 남반구 국가로의 수출을 강화한다. 독일을 시작으로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에도 딜러망을 구축해 본격적인 공략에 나설 방침이다.
스마트 모빌리티·스마트팜 추진
대동공업은 큰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원 사장은 “농업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분야”라며 “대동공업의 상품과 서비스 가치를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과 결합해 고도화하겠다”고 했다. 농기계는 이앙기를 시작으로 자율주행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농기계는 사람이 거의 없는 제한된 공간에서 운용하기 때문에 변수가 적어 자율주행을 적용할 수 있는 폭이 더 크다는 설명이다. 위치정보 확인, 시즌별 맞춤형 서비스 등 기존에 없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장기적 목표를 세웠다.이 같은 변화는 스마트 모빌리티와 스마트팜이라는 미래 사업과 연결된다. 대동공업은 농기계뿐만 아니라 골프 카트, 운반기, 잔디깎이 등도 생산하고 있다. 원 사장은 “우선 스마트 농기계를 시작으로 장기적으로 특수목적차량까지 스마트화할 것”이라며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 산업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후 이 같은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쌓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팜을 실현하는 게 장기적인 청사진이다. 농기계 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토양 등 환경과 농업 패턴을 분석, 최적의 생산량을 끌어내는 시점과 농업 형태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