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대목을 앞두고 대형마트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2차 긴급재난지원금(이하 코로나지원금) 지급 논의에 다시 불이 붙었기 때문이다.
일반 소비자는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이 달갑겠지만, 대형마트는 정반대다. 1차 지원 당시 대형마트에선 지원금 사용이 허용되지 않았던 탓이다. 지원금 소비가 편의점 등으로 편중되면서 주요 대형마트는 2분기 적자에 허덕였다. 2차 재난지원금도 대형마트에서 사용 못할 경우 3분기 실적도 망가질게 뻔하다.
여기에다 3단계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우려까지 덮쳤다. 소비 회복 기대감에 부풀었던 대형마트는 다시 벙어리 냉가슴 신세가 됐다.
2차 재난지원금?…대형마트 '벙어리 냉가슴'
더불어민주당이 2차 코로나지원금 지급 필요성을 연일 강조하고 나선 데 대해 27일 대형마트 업계에선 "1차 코로나지원금 당시와 같은 방식으로 2차 코로나지원금이 진행된다면 그야말로 날벼락"이라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1차 코로나지원금 사용처에서 대형마트와 기업형 수퍼마켓(SSM)이 빠지면서 관련 업계는 타격이 불가피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1차 재난지원금 사용 당시 생활필수품 수요가 편의점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고객의 발길이 끊겼다"며 "이는 단기 실적 뿐 아니라 충성고객을 뺏기는 트리거(신호탄)로 작동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장기적으로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형마트는 지난 2분기에 줄줄이 대규모 영업적자를 냈다. 업계 1위 이마트는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474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영업적자 299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확대됐다. 롯데마트는 지난 2분기 34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감염 우려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기피와 코로나지원금 사용 제한 등으로 고객이 줄어든 결과다. 당시 사용처에 속한 하나로마트와 GS더프레시 등 일부 대형 유통매장과 편의점은 '특수'를 누려 유통업계 일각에선 형평성 논란도 일었다.
대형마트 업계에선 당시 모객을 위해 '노마진' 행사를 실시하는 등 매출 회복에 힘을 쏟았다. 이후 재난지원금이 소진되면서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던 매출은 코로나19 재확산과 겹쳐 광복절 연휴 이후 감소하고 있다. 여기에 2차 코로나지원금이 등장할 경우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코로나 재확산…"3단계 거리두기 격상 시 타격"
일일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400명 대를 넘어서면서 3단계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점도 대형마트 업계의 걱정 요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서는 10인 이상 집합·모임·행사가 금지되는 만큼 사실상 유통업계 전체가 타격이 불가피하다. 대형마트의 경우 영업은 이어갈 수 있지만 시식행사, 문화센터가 정지되면서 모객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영업시간을 기존 오후 11시에서 9시로 2시간 단축하고 할인행사 등 사람들이 모이게 되는 행사도 진행할 수 없다"며 "시식 및 화장품 샘플링 시연, 문화센터 등도 모두 금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정확한 지침은 3단계 격상후 정부에서 가이드라인이 내려와야 알 수 있다"며 "사상 초유의 일인 만큼 긴장을 늦추지 않고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차 코로나지원금과 3단계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이 현실화되면 기존 '규제'와 더해져 대형마트들을 '삼중고'에 빠뜨릴 것으로 관계자들은 우려한다. 지난달 '대한민국 동행세일'에 의무 휴업규제 때문에 일요일 문을 닫아야 했다. 동행세일이 끝나는 날(7월 12일)에도 의무휴업일로 대부분 문을 닫았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추석을 앞두고 추석 선물세트 판매에 본격적으로 돌입한 시점에서 코로나19 재확산에다 코로나지원금 등 이슈가 겹쳐 걱정이 깊어질 따름"이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만큼 점포 방역 관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