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47251.1.jpg)
세아제강지주가 영국의 국책 과제인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영국 현지에 공장을 짓고 풍력발전 기초구조물(모노파일)을 공급한다. 전 세계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글로벌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2040년 1조달러(약 12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아제강은 해상풍력발전 구조물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본격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바닷속에 아파트 30~40층 철강 기둥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49108.1.jpg)
세아제강은 2023년 1분기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해 연 100개 이상의 모노파일을 판매, 연매출 5000억원을 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영국 모노파일 수요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모노파일은 해상풍력발전의 중심을 잡아주는 강철 기둥이다. 해상풍력발전기는 바닷속에 아파트 30~40층 높이(60~100m)의 강철 기둥을 박은 뒤 그 위에 선풍기 모양의 블레이드와 터빈을 올리는 방식으로 건설한다. 지름이 200m에 달하는 블레이드를 지탱하면서 거센 파도를 버텨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식성이 중요하다.
초대형 후판 3~4장을 용접해 제작하는 모노파일은 고도의 용접기술이 필요하다. 영국은 글로벌 기업을 물색하다가 세아제강을 파트너로 낙점했다. 세아제강은 2017년 이후 대만 등 10곳의 프로젝트에 기초구조물을 납품한 경험이 있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게리 그림스톤 영국 산업전략부 부장관은 “해상풍력 사업자들과의 조기 계약 주선, 최적의 공장 입지 선정, 연구개발(R&D) 사업 제공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세아 ‘3세 경영’ 본격화
세아제강은 영국 공장 설립을 계기로 세계 해상풍력발전 구조물 시장 1위 업체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아제강지주 작년 매출(2조6439억원)에서 해상풍력 관련 매출은 4%(약 1000억원)에 불과했지만 중장기적으로 이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RCG에 따르면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연평균 13%씩 증가해 2040년에는 1조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47169.1.jpg)
세아그룹은 두 개의 지주사를 세워 사촌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창업주 이종덕 명예회장의 장손이자 고(故) 이운형 회장 장남인 이태성 부사장이 특수강 분야를 담당하는 세아홀딩스를, 이 회장의 동생인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의 장남 이주성 부사장이 강관 및 판재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세아제강지주를 담당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이주성 부사장이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서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