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352.1.jpg)
구도심은 100년 역사 담은 박물관
목포가 특별한 이유는 19세기 말 개항 이후 100년의 역사를 오롯이 품고 있기 때문이다. 목포는 1897년 부산, 원산, 인천에 이어 네 번째로 개항했다. 기름진 호남평야와 군사적 요충지에 있는 목포를 일제가 가만둘 리 없었다. 자주 개항한 처음 의지와 달리 호남의 숱한 곡물과 자원을 일제로 옮기는 수탈의 창구가 되고 말았다. 목포 구시가지에는 근대사를 대표하는 장소들이 펼쳐져 있다. 목포근대역사관 1관과 목포근대역사관 2관이다.빨간 벽돌로 지은 서양식 건물이 이색적인 목포근대역사관 1관은 1900년에 지어진, 목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1900년 일본 영사관으로 쓰기 위해 지어진 르네상스 양식의 이 건물은 목포의 개항과 당시 조선의 사회상, 일제의 야욕과 수탈의 역사가 담긴 사진들이 고스란히 전시돼 있다. 최근에는 아이유와 여진구가 주인공으로 나온 ‘호텔 델루나’의 촬영지로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안타깝게도 코로나19로 인해 임시휴장하고 있어 외부만 촬영할 수 있다.
목포근대역사관 1관 계단을 내려오면 커다란 돌에 ‘국도1·2호선기점’이라고 새겨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이 푯돌이 있는 삼거리가 국도1호선과 2호선이 출발한 지점이자, 한국 도로 역사의 기념비적인 장소다.목포근대역사관 1관에서 10분도 안 되는 거리에 목포근대역사관 2관이 있다. 목포근대역사관 2관은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으로 사용된 이국적인 석조 건물로, 일제의 경제적 본거지였다.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소작료를 거둔 일제 수탈의 상징적인 장소다. 이곳에 1920년대 말 목포와 조선 말기의 모습, 항일운동과 일제강점기 수난의 역사가 사진으로 전시되고 있다. 구시가에는 외세의 경제적 침략에 대항해 국내 최초로 설립된 민족자본 은행 건물도 있다. 현재 목포문화원으로 쓰이는 옛 호남은행은 조흥은행의 전신이며, 목포에 남은 유일한 근대 금융계 건물이다. 1924년 갑자년에 모자점으로 시작해 여전히 그 후세가 모자점을 운영하는 ‘갑자옥모자점’에도 들러볼 만하다.
서산동 일대는 1980년대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달동네로 군데군데 빈집이 늘었지만 오히려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느낌 때문에 사람들의 발길이 늘고 있다. 서산동 입구에는 영화 ‘1987년’ 촬영지로 알려진 ‘연희네 슈퍼’가 있다. 당시 구멍가게의 느낌을 얼마나 세밀하게 재현해 놓았는지 이곳만 시간이 박제돼 버린 것 같다. 연희네 슈퍼에서 위로 올라가면 흑백사진을 찍어주는 유달동 사진관과 1949년부터 운영 중인 빵집 ‘코롬방제과’도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277.1.jpg)
민어, 준치, 병어… 매력적 맛의 격전장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29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298.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297.1.jpg)
홍어 하면 나주라고 하지만 목포 홍어는 맛에서 조금도 떨어지지 않는다. 삼합은 삭힌 홍어와 삶은 돼지고기, 묵은지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낸 음식이다. 세 가지를 함께 싸 먹는데 홍어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강력한 향 때문에 거부감을 갖는 사람도 많지만, 홍어의 알싸한 향과 돼지고기의 담백함, 묵은지의 상쾌함이 입안에서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여기에 막걸리가 어울리면 홍탁 삼합이 된다. 꽃게장은 전국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지만 목포는 인동초 꽃을 넣고 생강과 무 마늘 등을 넣어 짜지 않으면서도 향긋한 맛이 일품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01313.1.jpg)
목포=최병일 여행·레저전문기자 skyc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