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8.48

  • 15.86
  • 0.63%
코스닥

692.58

  • 4.25
  • 0.61%
1/2

국내 연구진, 뇌졸중 후유증 유발하는 ‘기능해리’ 매커니즘 밝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뇌졸중 후유증을 유발하는 ‘기능해리’의 발생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광주과학기술원(G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8일 뇌 속 ‘별세포’가 뇌졸중 후유증을 일으키는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뇌 부위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손상 부위에 따라 운동, 언어 등 여러 후유증이 남지만 아직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 뇌졸중이 발생하면 발생 부위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부위에도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를 ‘기능해리’라고 한다. 연구진은 기능해리의 원인이 별세포의 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뇌 백질부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운동피질 부위에 신경세포의 손상이 일어난다. 연구진은 신경 변성 부위에서 별세포의 이상 변화를 발견했다.

뇌 신경세포인 뉴런을 보조하는 ‘별세포(astrocyte)’는 손상된 신경세포를 복구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면 오히려 신경세포에 여러 영향을 미치는 ‘반응성 별세포’ 상태가 되는데, 이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많은 뇌질환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반응성 별세포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과도하게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시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한 발 더 나아가 별세포 안의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효소인 ‘마오비(MAO-B)’를 억제하는 약물의 효능도 확인했다. 마오비 억제제 ‘KDS2010’을 쥐에서 사용한 결과, 별세포의 가바 분비가 줄어들어 운동 피질의 기능해리 현상이 완화되고 운동 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김형일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기능해리를 동반한 다양한 신경학적 뇌질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지표가 될 것”이라며 자체 개발 치료제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지원 기자 jwchoi@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