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25055.1.jpg)
이달 전국에서 8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올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다. 일반분양분도 5만 가구가량 쏟아지면서 분양시장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다음달부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고 지방광역시에서 입주 때까지 전매가 제한되는 등 규제가 강화된다. 건설사들이 규제 적용 전 공급을 서두르고 있다. 분양 비수기인 7월 분양장이 활짝 열리는 셈이다.
이달 전국 일반분양 5만 가구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전국 81개 단지에서 총 8만1273가구(임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5만1263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지난달 일반분양(2만1508가구)에 비해 약 3만 가구가 더 풀리는 것이다. 작년 7월(1만6489가구)과 비교해도 3배가량 많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경기에서 25개 단지, 1만4349가구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서울에서도 1만37가구(11곳)가 공급되고 대구(6757가구·14곳), 부산(3847가구·5곳), 충남(3012가구·3곳) 등에서도 일반분양이 대거 나온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25046.1.jpg)
서울에서는 최대 재건축 단지인 ‘둔촌주공’이 관심이다.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대우건설이 강동구 둔촌동에서 1만2032가구를 짓는다. 이 중 4786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 9호선 둔촌오륜역이 바로 앞에 있다. 단지 내 둔촌초, 위례초가 있는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다.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를 재건축하는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도 분양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35층, 74개 동에 6702가구(전용 34~170㎡)로 이뤄진다. 일반분양 대상은 1235가구다. 신분당선 구룡역과 3호선 도곡역·매봉역을 걸어서 갈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45739.4.jpg)
롯데건설은 서울 성북·노원·광진 등 강북권 주요 지역 세 곳에서 재개발·재건축 단지를 선보인다. 성북구에선 길음역세권 재개발을 통해 ‘길음역 롯데캐슬 트윈골드’를 분양한다. 지하 5층~지상 35층 2개 동, 395가구(전용 59·84㎡) 규모다. 일반분양은 218가구다. 지하철 4호선 길음역이 단지와 바로 연결된다. 노원구 상계동에선 ‘노원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내놓는다. 상계뉴타운에 공급되는 첫 ‘롯데캐슬’ 브랜드다. 지하 3층~지상 29층, 10개 동, 1163가구(전용 21~97㎡)로 이뤄진다. 광진구 자양동에 공급하는 ‘롯데캐슬 리버파크 시그니처’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6개 동, 878가구(전용 59~122㎡)로 지어진다. 이 중 482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25047.1.jpg)
인천에선 SK건설이 ‘운서 2차 SK뷰 스카이시티’를 공급한다. 지하 1층~지상 20층, 12개 동, 909가구(전용 70~84㎡)로 건립된다. 공항철도 운서역을 통해 서울 마포구까지 40분대에 이동할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25056.1.jpg)
동원개발은 대구에서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15층, 12개 동, 627가구(전용 50~84㎡) 중 405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단지 바로 옆에 효목초가 있다.
대출 조건 등 꼼꼼히 따져봐야
이달 말부터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고, 다음달부터는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대부분 지역에서 소유권 이전등기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제한된다. 건설사들이 규제 강화 전 분양을 서두르고 있는 이유다. 정부가 지난달 ‘6·17 대책’으로 규제 지역을 넓히고 추가 대책까지 시사하면서 ‘똘똘한 한 채’로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분양시장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고분양가 규제로 분양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되기 때문이다.투기과열지구 등 규제 지역은 대출에 제한을 받는다. 분양 단지는 중도금과 잔금, 기존 아파트는 전세대출, 주택담보대출을 따져봐야 한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본부장은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대부분이 규제 사정권에 들어갔기 때문에 서울을 비롯한 인기 지역에 수요가 몰릴 수 있다”며 “예비 청약자들은 하반기에 추가 규제가 들어가면 대출 조건 등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