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9.87

  • 7.36
  • 0.30%
코스닥

675.51

  • 0.41
  • 0.06%
1/4

정치·경제적 자유 위기에 홍콩 '금융허브' 위상도 흔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홍콩이 아시아 금융허브로 도약하게 된 밑거름인 정치·경제적 자유가 흔들리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30일 홍콩의 금융인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처리로 인해 객관성이 생명인 경제 분석이 왜곡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홍콩 투자은행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보안법이 체제 전복 시도와 테러 등에 대응하는 법이라고는 해도 경제 문제에서 '검열'이 행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FT는 그동안 글로벌 투자자들이 표현의 자유가 보장됐던 홍콩에서 작성된 경제 관련 보고서를 신뢰해 왔지만, 앞으로는 홍콩의 분석가들이 자기 검열에 나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특별지위 박탈은 홍콩 내 경제활동을 보다 직접적으로 위축시킬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은 영국이 1997년 중국에 홍콩을 반환하기 5년 전인 1992년 미국-홍콩 정책법을 제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홍콩에 중국과는 다른 다양한 권리를 보장해 왔다.

업무·관광·교육 등 영주 목적이 아닌 경우 상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양국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투자협정도 맺었다. 양국 통화의 자유로운 환전을 보장한 덕분에 홍콩 정부는 홍콩달러를 달러 당 7.75∼7.85달러에 고정하는 페그제를 유지해 왔다.

무역에선 미국과 거래하는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관세율(최혜국 대우)을 적용하고, 미국의 민감한 첨단 기술·지식을 적용한 제품 교역도 허가했다. 이날 미 상무부가 홍콩에 대한 국방 물자 수출을 중단하고 홍콩에 대한 민·군 이중용도 기술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한 것은 교역 부문에서 특별 지위를 일부 제한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특별지위는 홍콩 경제 발전 뿐 아니라 미국 기업의 홍콩 진출 원동력으로도 작용했다. 미국 기업들은 인력과 기술 왕래가 자유롭고, 환손실 위험도 없는 홍콩을 아시아 시장 개척의 교두보로 삼았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300여개 미국 기업이 홍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8만5000여명의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 박탈로 이런 이점들이 사라지면 미국 기업의 이탈은 물론 아시아 금융허브로서의 홍콩의 지위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싱가포르는 이미 낮은 세율, 영어 구사 능력, 안정적 법 제도 등 홍콩과 비슷한 조건을 내세워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FT에 따르면 싱가포르가 올해 초 외국 헤지펀드를 유치하기 위해 캐이맨제도나 룩셈부르크 등 조세회피처 수준으로 규제를 완화한 개방형 투자 회사(VCC)를 법제화했다. 현재까지 6달 동안 운용자산 수십억달러 규모의 글로벌 펀드 4곳을 비롯해 70여곳의 VCC가 새로 설립됐다.

반면 홍콩에선 헤지펀드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하고 있다. 올들어 지난 4월까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인 310억달러가 빠져나갔다. 설립 초기 단계인 헤지펀드에서 자금 이탈이 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