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94.46

  • 12.34
  • 0.50%
코스닥

693.73

  • 10.38
  • 1.52%
1/4

“공포가 아닌 변화에 투자해야…인터넷·헬스케어 다음은 자동화·친환경"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 3월 19일, 증권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공포에 빠져 있었다. 코스피지수가 2009년 이후 11년만에 1400대까지 떨어진 이날,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주식운용3본부 소속 매니저들은 화상통화로 치열한 회의를 이어갔다.

올해 증시를 낙관하던 연초의 가정들은 코로나19에 휩쓸려 모두 무너졌다. 포트폴리오를 전면적으로 바꿔야한다는 점에는 모두가 공감했지만, 어떤 업종과 종목에 투자할지가 문제였다. 내부에서는 두가지 의견이 엇갈렸다. 코로나19의 공포로 제 값보다 한참 밑으로 떨어진 낙폭과대주를 매수해야 한다는 ‘공포’파와 낙폭은 덜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의 수혜주로 부상할 신성장주를 매수해야 한다는 ‘변화’파의 대립이었다.

이하윤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주식운용3본부장(사진)은 ‘변화’의 손을 들어줬다. 그는 “당시 주가순자산비율(PBR) 0.1~0.2까지 떨어진 우량주들도 많았지만, 사상 최대 규모의 유동성이 시장을 방어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변화할 세상에 투자한다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자신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운용하는 ‘마이다스미소중소형주’ 펀드에서 경기소비재와 휴대폰 부품주의 비중을 줄이고, 인터넷과 헬스케어 업종을 집중적으로 담기 시작했다.

예상은 적중했다. 펀드평가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마이다스미소중소형주는 29일 기준으로 지난 3개월 동안 53.12%의 수익률을 올려 국내 65개 중소형주 펀드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6개월과 연초대비, 1년, 3년 수익률은 1위다. 올들어 국내 모든 액티브 주식형 펀드 가운데서도 세번째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그는 중소형주 투자자라면 무엇보다 성장의 트렌드를 빠르게 쫒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엔씨소프트를 비롯한 인터넷 업종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던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실적 전망이 오히려 개선됐다"며 "코로나19로 경제를 주도하는 업종이 뒤바뀌는 시점에서 선제적으로 행동한 것이 수익률의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높은 수익률을 이끈 또 하나의 축인 바이오·헬스케어에서는 여러 종목에 투자하는 ‘바스켓’식 투자를 강조했다. 그는 “여의도 펀드매니저들은 수준높은 리서치 인력의 도움을 받지만 그들조차 바이오 업종에 대한 완벽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소수의 종목에 집중투자하기보다는 시장에서 주목하는 분야의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들의 임상 스케쥴을 고려해 호재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종목들을 비슷한 비중으로 묶어서 투자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가 담은 바이오 업종 종목들로는 엘앤씨바이오 오스코텍 메지온 삼천당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등이 있다.

그는 하반기에도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친환경 및 생산공정 자동화 관련 종목들이 중소형주 내 주도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본부장은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정부와 기업들은 환경오염과 노동집약적 생산공정이 경제의 큰 리스크 요인으로 자리잡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상반기 증시의 주도주가 인터넷과 헬스케어였다면, 하반기와 이후 전기차와 태양광, 수소차 등 친환경 관련 테마 그리고 시스템통합(SI)과 로봇 등 자동화 관련 종목들을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본부장은 중소형주 펀드가 공모펀드 시장을 떠난 투자자들을 되찾아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장 전체가 매년 상승할 수는 없지만, 시황과 상관없이 매년 주가가 2~3배 오르는 중소형주는 등장한다”며 “탐방과 분석을 통해 남들이 모르는 성장성이 돋보이는 종목을 찾아내 시장을 압도하는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 중소형주 펀드의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믿음은 본인의 경험에서 출발한다. 이 본부장은 스스로를 '펀드 덕분에 펀드 매니저가 된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2007년에 은행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1년 뒤 카이스트 금융공학대학원에 진학해 펀드매니저의 꿈을 키웠다. 그는 “당시 가입했던 펀드가 100%가 넘는 수익을 올리면서 대학원 등록금을 모을 수 있었다”며 “펀드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을 갖고 매니저를 시작한 것이 10년 넘게 운용을 이어갈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