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 위기가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임시 일용직에서 상용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상시 근로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들의 고용 충격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날아간 일자리가 32만3000개에 달한다. 이중 14만개가 상용직 일자리다. 코로나 영향이 장기화되면서 자금여력과 영업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더 휘청이는 양상이다.
다만 대기업 근로자가 증가세로 돌아선 영향으로 전체 근로자 수는 전월보다 소폭 반등해 코로나19 고용위기가 바닥을 친 게 아니냐는 기대 섞인 분석도 나온다.
○근로자 감소세 '주춤'…고용위기 바닥 쳤나?고용노동부가 19일 발표한 '5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3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1000명(1.7%) 줄었다.
일자리 타격은 임시일용직과 서비스업 등 '약한 고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난달 임시일용직은 총 173만5000명으로 지난 해 같은 달에 비해 10만1000명(5.5%) 급감했다. 특정 사업장에 속해 있는 특수고용직 종사자 등 기타 종사자도 전년동기 대비 6만9000명(5.9%) 줄었다. 규모별로 봐도 작은 사업장의 고용 충격이 더 컸다. 상시 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수는 32만3000명(2.1%) 줄었다. 반면 300인 이상 사업체 직원은 1만3000명(0.4%) 가량 증가했다.
업종별로도 대면이 불가피한 숙박·음식업과 학원 등 교육서비스업 일자리가 많이 줄었다. 숙박·음식업에서만 15만5000명(12.1%)이 일터를 떠났고, 교육서비스업에서도 6만9000명(-4.2%)이 감소했다.
하지만 전체 종사자 수는 지난달에 비해 소폭 늘면서 반등 신호를 보였다. 지난 4월에는 전년동월 대비 근로자 수가 36만5000명 줄어 역대 최대치였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보면 올들어 4월까지만 46만6000명이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달에는 전월에 비해 근로자 수가 8만5000명 늘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사업체 종사자 수는 3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5월에는 감소폭이 축소됐다"며 "방역상황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할 상황이긴 하지만 회복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상치않은 제조업·상용직 일자리 감소일각에서는 코로나19발 고용대란이 바닥을 친 것이 아니냐는 기대도 나오지만 심상치 않은 대목은 제조업과 상용직으로의 위기 확산이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달에만 6만9000개(1.8%)가 사라졌다. 지난 3월 -1만1000명, 4월 -5만6000명에 이어 감소폭이 매달 확대되고 있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달 말 기준 366만4000개로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상용직으로의 고용위기 확산은 더 심각하다. 지난달 줄어든 일자리 두 개 중 하나는 상용직이었다. 상용직은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일자리로, 통상 정규직으로 분류된다. 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직과 1개월 미만인 일용직에 비해 상대적인 양질의 일자리로 구분되는 개념인 셈이다. 상용직 일자리는 지난 3월 8000명이 감소한 이후 4월에는 13만3000명이 급감했다가 지난 달 -14만명(0.9%)으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임시일용직에 한정됐던 코로나19 고용 충격 범위가 점점 확산하고 있다는 얘기다.
고용부 관계자는 "상용직 감소는 전년에 비해 채용이 3만9000명 줄어든 데다 휴업·휴직자 등이 포함된 기타 이직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긴급고용안정 지원 신청 100만명 육박고용부가 매달 발표하는 사업체노동력 조사는 농업을 제외하고 근로자 1인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다. 고정 사업장이 없는 특고 종사자와 1인 자영업자 등은 조사 대상이 아니다. 이 때문에 실제 고용사정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해 소득이 감소한 특고 종사자나 영세 자영업자, 무급휴직 근로자들 대상으로 총 150만원을 지원하는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청은 접수한 지 한 달도 안돼 98만5019명(28일 기준)에 달했다. 줄어든 전체 일자리의 3배 이상의 경제활동인구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이날 고용노동 위기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30일부터 지원금 신청 시 증빙서류를 더 간소화하고, 신속한 지원금 지급을 위해 3주 동안 고용부 전 직원이 참여하는 집중처리 기간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