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 ‘둥지 내몰림’이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사회에 꾸준히 자리 잡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된 구도심이 활성화되면서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돼 기존의 저소득층과 원주민이 도시에서 쫓겨나는 현상이다. 서울을 대표하는 번화가이자 예술거리인 경리단길, 익선동, 북촌, 가로수길과 삼청동 역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겪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은 경제적인 측면이다. 구도심 활성화로 이른바 ‘핫 플레이스’가 되면, 임대료가 오르고 유명 프랜차이즈가 들어오며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임차인들은 도시 밖으로 내몰리게 된다.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어 임차인들이 도시를 떠나고, 상가는 텅텅 비어간다.젠트리피케이션으로 가장 큰 고통을 받게 되는 것은 도시의 원주민과 저소득층 소상공인이다. 2019년 3월, 서울고등법원 형사3부는 살인미수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모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김씨는 자신이 운전하는 차량으로 건물주 이모씨에게 돌진했으며, 망치를 휘둘러 머리를 가격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언뜻 단순한 폭행사건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이 속에는 더욱 잔인한 실상이 숨겨져 있었다.
가해자 김씨는 서울 한 상가건물에서 족발집을 운영하고 있었다. 족발집이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 유명해지자, 2016년 상가건물을 매입한 건물주 이씨는 월세를 297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네 배 넘게 올려 요구했다. 이로 인해 건물주와 김씨 간의 갈등이 시작됐고 결국은 극단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도시에서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피해자들이 속출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미 정부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해 상가건물의 임대인과 임차인, 해당 지방자치단체장 등이 지역의 활성화와 상호 이익 증진을 위해 스스로 체결하는 상생협약의 근거를 마련했으나, 중요한 건 이의 실효성이다. 도시재생이란, 낙후된 구도심을 활성화함으로써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게 되지만 결국은 이로 인해 도시에서 내몰리는 상인과 원주민들이 생긴다는 부정적인 면모가 동시에 존재한다.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에서 불거진 문제 중 하나인 만큼 신중한 태도로 다양한 정책을 통해 피해 원주민들을 구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태영 생글기자(정발중 3년) ktyq1w2e3@naver.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