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3

'삼척 노파 살인사건' 16년 미제 진범 찾았다…"DNA 분석 쾌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삼척 노파 살인사건' 16년 미제 진범 찾았다…"DNA 분석 쾌거"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6년 미제사건으로 남아있던 '삼척 노파 살인사건'의 진범이 마침내 밝혀졌다.

강원지방경찰청은 26일 삼척 노파 살인사건의 진범이 당시 25세였던 남성 A 씨라고 밝혔다. 하지만 사건 이듬해 A 씨가 숨진 까닭에 죗값을 물을 수는 없게 됐다.

경찰은 과학수사 기법의 발달로 사건 당시 현장에서 확보한 증거물에 남아있던 DNA와 용의자의 DNA를 대조해 사건의 수수께끼를 풀었다.

경찰에 따르면 2004년 10월2일 70대 여성 B 씨는 삼척시 근덕면 자택에서 살해당한 채 발견됐다. 당시 피해자가 살던 마을은 30~40가구 규모의 작은 마을이었지만 당시 용의선상에 오른 인물만 3000여명에 달했다.

경찰은 이들 중 피해자와 원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인물 4명을 유력 용의자로 지목했으나 이들이 범인이라는 결정적인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이후 16년간 미제사건으로 남아있던 사건은 지난해 9월 전환점을 맞았다. 경찰이 장기 미제 살인사건 해결을 위해 광역수사대 12명과 미제사건 전담수사팀 3명으로 수사전담팀을 확대 편성하면서다.

전담팀은 사건 발생 당시 현장에서 채취한 담배꽁초와 피해자의 오른손 손톱에서 채취한 DNA 등 증거물과 37권에 달하는 수사기록을 몇 달 간 분석했고, 그 결과 사건 발생 추정 시간인 오후 8∼10시 사이 피해자의 차량을 얻어 탄 남성이 유력한 용의자로 떠올랐다.

경찰은 사건 특성상 진범이 사건 발생지 주변에 연고가 있거나 지리에 밝은 인물일 것으로 보고 수사망을 좁힌 결과, 절도 전력이 있고 사건 당일 차량을 얻어 탄 남성과 비슷한 연령대인 A 씨가 범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A 씨를 범인으로 지목한 '결정적인 증거'는 사건 발생 당시 확보한 DNA였다.

경찰이 당시 차량에서 나온 지문과 A 씨의 지문을 대조한 결과 일치했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담배꽁초와 피해자 손톱 등 현장 증거물에서 확보한 DNA 또한 A 씨의 DNA와 일치한다는 감정 결과를 받았다.

다만 A 씨는 노파 살해 다음 해 6월17일 도내 다른 지역에서 절도를 시도하다 피해자에게 발각돼 몸싸움을 벌이다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16년 동안 미궁 속을 헤매던 장기 미제사건의 진범이 마침내 A 씨로 밝혀졌지만 이미 숨진 탓에 법의 심판을 받을 수 없게 된 셈이다. 경찰은 이 사건을 '공소권 없음'으로 검찰에 넘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