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9.32

  • 1.04
  • 0.04%
코스닥

692.93

  • 0.22
  • 0.03%
1/3

애플 '脫중국' 박차…에어팟 물량 30% 베트남으로 이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애플이 ‘탈(脫)중국’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작년부터 생산기지 다변화를 추진해온 애플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이를 가속화하고 있다. 공급망 혼란에 따른 생산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 정부도 과도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고 공급망 재편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구글·MS 등도 中 생산비중 축소

9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3월 초부터 무선이어폰 에어팟의 생산 물량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겼다. 중국에서 생산하던 기본형 에어팟의 약 30%인 300만∼400만 개를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 애플은 최근 홈페이지에 베트남 내 사무직과 기술직 채용공고를 냈다.

애플은 아이폰 등을 폭스콘, 페가트론 등 전자제품 제조서비스(EMS)업체에 맡겨 생산해왔다. 폭스콘 등은 중국에 거대 제조기지를 세우고 생산·납품했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자 애플은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제조된 애플 기기를 미국으로 들여올 때 관세를 물게 되자 이를 피하기 위해 공장을 다른 나라로 옮기기로 한 것이다.

애플의 스마트워치, 에어팟 등은 작년 9월부터 15%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관세를 면제받은 아이폰과 맥북은 여전히 중국에서 조립되고 있다.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지난해 6월 애플이 EMS업체에 생산량의 15∼30%를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아이폰 조립업체인 폭스콘·페가트론·위스트론, 맥북을 생산하는 콴타컴퓨터, 아이패드 생산업체 콤팔일렉트로닉스, 아이팟과 에어팟 제조업체 인벤텍·럭스셰어-ICT·고어테크 등이 모두 포함됐다.

고어테크는 2018년 10월부터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기 시작했고, 작년 여름 시험생산에 들어갔다. 또 인벤텍도 베트남에 공장을 짓고 있다. 폭스콘과 페가트론, 콤팔일렉트로닉스 등도 베트남 북부의 조립공장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 공장에서 당장 애플 제품을 조립할 계획은 없지만 구글과 아마존의 스마트스피커 등을 생산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닌텐도 등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생산라인을 이전하고 있다.

애플은 또 지난해 10월부터 인도에서 조립된 아이폰ⅩR 모델을 판매하기 시작하는 등 이미 일부 제품의 생산을 인도 브라질 등으로 이전했다. CNBC는 애플이 공급망을 계속 다양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지난 1월 15일 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체결된 뒤 탈중국 노력을 잠시 늦췄지만,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뒤 다시 가속화하고 있다. 생산 다각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기 때문이다.

중국이 애플의 핵심 시장이라는 점에서 주요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올 3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때문에 공급망을 변경할 경우 근본적 변경이 아니라 소폭 조정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 협력사 중 하나인 픽티브의 데이브 에번스 CEO는 로이터 인터뷰에서 “중국 이외에는 하루 60만 대의 스마트폰을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곳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미 정부, 기업들 탈중국 지원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화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미·중 신냉전 기류와 맞물려 가속화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중국 책임론’을 제기하며 관세를 통해 보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WSJ는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미국 기업의 중국 내 공급망을 다른 나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최근 일본과 한국, 호주, 인도, 베트남 등 우호적 국가들과 협력해 공급망을 새로 짜는 방안을 논의했다. 로이터통신은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이뤄진 ‘글로벌 번영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급망을 동맹국으로 옮겨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것이다. 백악관은 중국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미국 기업이 미국이나 동맹국으로 이전할 경우 그 비용만큼 세금을 공제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